경제 >

첨단사업 패권경쟁 격화…"韓美 주도로 AI 다자 R&D센터 창설하자"

첨단사업 패권경쟁 격화…"韓美 주도로 AI 다자 R&D센터 창설하자"
자료: 한국경제인협회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우위 선점을 위한 각국의 경쟁이 불붙는 가운데 AI 연구를 이끌고 있는 한국과 미국이 주축이 되는 AI 연구개발(R&D) 협력체를 만들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12일 한국경제인협회와 테크앤트레이드연구원이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글로벌 첨단기술 선점을 위한 한미협력 세미나'에서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세계는 첨단산업에 대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지난해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한미관계가 단순한 안보동맹을 넘어 전략적인 경제·기술 파트너십으로 확대된 상황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원천기술에 강점이 있는 미국과 첨단 제조분야 생산기술에 강점이 있는 한국이 신기술 분야에서 협력해 나가면 엄청난 시너지를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로버트 앳킨슨 미국 정보혁신재단(ITIF) 회장은 '미국 대선 이후 산업·기술 정책 변화와 대응방안'을 주제로 진행한 기조강연에서 한미간 상호 윈윈이 가능한 분야로 반도체, 양자컴퓨팅 등을 꼽았다. 또 양국간 기술협력이 유망한 분야로 스마트 시티, 로봇, 원자력, 조선, 스마트 제조 분야를 제시했다.

앳킨슨 회장은 바이든 집권시의 제2기 핵심 정책기조를 청정에너지 확대 등 녹색의제에 박차를 가하는 ‘녹색 재분배'로 정의하며 녹색투자의 확대를 예상했다. 주요 대외정책으로는 △현행 관세 수준을 유지 △수출통제대상 단계적 추가 △수출통제조치 확대 △무역 확대를 위한 별도의 조치는 없음 등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집권시의 제2기 핵심 정책기조는 국익 수호 중심의 ‘작은정부 보호주의’로 봤다. 주요 대외정책으로는 △동맹국에 대해서도 예외 없는 관세 상향 조정, △약달러 정책 △외국기업의 미국 내 인수합병(M&A) 등 대미투자 감시 강화 △수출 통제 및 대중 외국인직접투자(FDI) 통제 △반도체 추가지원 부재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제한 등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앳킨슨 회장은 미국 대선 결과에 대비해 한국은 △미국 투자성과 적극적 홍보 △자유로운 경영활동을 보장하는 글로벌스탠더드 정책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한미 바이오 사이언스 협력' 세션의 주제발표를 진행한 스티븐 엣젤 정보혁신재단(ITIF) 부대표는 한미간 다양한 공동 R&D 이니셔티브 확대도 제안했다. 특히 중국과 인도가 과점하고 있는 원료의약품에 대해 한미 공동 개발을 통해 의존도를 해소하고 프렌드쇼어링을 확대하자고 전했다.

한미가 우호국들 결집시켜 AI 다자 R&D 센터를 구축하자는 목소리도 나왔다.

송치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22년 AI 연구자료 발표 건수가 미국이 전 세계 1위, 한국이 2위인 가운데 2015년부터 2022년까지 누적 AI 특허 개수도 미국이 전 세계 1위, 한국이 2위일 정도로 양국이 AI 연구의 글로벌 최정상에 있다고 설명했다.

송 연구위원은 한국과 미국이 글로벌 AI R&D의 주축이 되기 위해 양국 주도 하에 가치를 공유하는 주요 우호국들을 모은 ‘AI 다자 연구센터(MAIRI)'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