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찾기 위한 합동 감식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출처: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23명의 목숨을 앗아간 화성시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를 방지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소방청과 전기안전공사, 가스안전공사 등과 함께 리튬 일차전지 제조 현장을 찾아 사업장과 안전점검 시스템 운영 현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 소방청, 배터리산업협회, 전기안전공사 등 각 분야 핵심 부처들이 참여해 '배터리 산업 현장 안전점검 TF(태스크포스)'를 구축 운영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주목할 점은 아리셀 공장의 화재 원인은 일차전지로 알려졌지만 이차전지까지 폭넓은 조사가 이뤄진다는 점이다.
TF는 리튬 일차전지 제조시설뿐 아니라 리튬 이차전지 제조시설, 리튬 배터리 ESS 제조시설, 사용후 배터리 보관시설 등 리튬 배터리 관련 국내 핵심 사업장의 안전을 점검할 예정이다. 또 여름철 풍수해 등에 대비해 전기, 가스, 산업단지 등 산업 인프라 전반에 대한 종합 안전점검도 즉시 실시할 계획이다.
여기에 정부는 현재 2차전지 화재안전검증세센터를 운영 중이다. 정부는 화재에 취약한 ESS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수냉식 및 화재확산 방지기술을 적용한 ESS 패키징 기술을 연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냉식 냉각시스템’이 채택된 ESS는 기존 공랭식 냉각을 채택한 ESS에 비해 기본적으로 화재 위험이 현저히 낮다. 2025년까지 신재생에너지와 연계한 ESS 안전성평가센터를 구축하고 화재 예방을 위한 국내 안전기준을 개발·실증할 방침이다.
ESS에 대한 불안감은 관련 시장 축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정부는 ESS 분야를 고부가가치 신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산업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 또한 ESS를 미래 먹거리로 설정하고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업계의 이견 없는 의견은 'ESS 시장을 넓히기 위해선 안전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다.
현재 수냉식 ESS 냉각 시스템을 양산하고 생산하는 기업은 국내 H기업이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기술의 양산에 성공한 기업은 세계에서 중국 기업 E사와 국내 기업 H사 뿐이다. 그마저도 글로벌 사업을 실제 영위 중인 기업은 국내 H사가 유일하다. ESS 액침 냉각 연구를 하는 또 다른 국내 기업 G사는 2026년말에나 연구개발에 성공하고 2027년 제품 상용화 추진 계획을 밝혔다.
'계획'이기 떄문에 성공할지 실패할지는 모르는 상황이다. 급성장하는 ESS 냉각 시장에서 당장에 중국과의 기술 싸움에 경쟁할 수 있는 기업은 결국 한 곳 뿐인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냉식 ESS는 기술적 허들이 매우 높은 분야"라며 "해당 분야에서 정부와 국내 기업들이 ESS에 대한 화재 불안감을 어떻게 해소하고 청사진을 그릴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