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주거비용 절감·은퇴자산 관리" 초저출생·고령사회 銀 역할 달라진다

금융연 주최·금융위 후원 미래금융 세미나

"주거비용 절감·은퇴자산 관리" 초저출생·고령사회 銀 역할 달라진다
이항용(앞줄 왼쪽 세번째부터) 한국금융연구원장,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및 토론·발제자 등 세미나 참석자들이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한국금융연구원(KIF)이 주최하고 금융위원회가 후원한 '미래의 거대트렌드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 미래금융세미나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2024.07.08.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청년층의 주택 마련과 결혼·출산 등을 위한 금융 지원으로 출생률 반등과 생산가능연령 인구 증가를 도모하고, 노후 현금 흐름 창출을 위해 연금제도를 개선하는 등 금융안전망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연구원 주최·금융위 후원으로 열린 '미래의 거대트렌드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 세미나에서 미래 금융산업의 역할을 이같이 정의했다.

금융당국과 업계는 초저출생·고령사회에서 금융이 '고객의 일상 속 동반자'로서 변화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김 부위원장은 인구구조 변화와 관련 "부양비 상승과 성장 둔화 가능성으로 인한 금융시장 및 산업의 침체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도 "금융산업이 수익모델을 다양화함과 동시에 생애주기별 상품을 확대하는 등 '고객의 일상 속 동반자'로서 금융산업의 새 역할을 모색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은행의 신탁업 진출, 보험사의 시니어 산업 진출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의견이었다. 서정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출산율 제고를 위해 출산가구가 가입·투자하는 금융상품에 세제지원을 확대하고 한도산정 시 유리한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며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심각하게 저해하지 않는다면 연계된 비금융 업무도 선별적으로 허용해야 한다"고 했다. 은행 등 금융사의 종합재산신탁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수탁가능한 재산의 범위를 확대하고, 보험사가 고령층을 위한 특화 보험상품을 늘리고 비금융서비스와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은행이 저출생·초고령사회에서 사회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당국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창옥 은행연합회 상무는 한 시중은행의 패밀리 상생적금을 언급하며 "저출생 관련 여수신 상품을 취급하는 경우 정부에서 다양한 인센티브를 준다면 더욱 활성화될 것 "이라며 "또 은행 신탁잔액이 3조3000억원 정도 되는데 수탁가능한 재산 범위를 보험금 청구권 등으로 늘리고, 폐쇄되는 점포에 은행이 보육서비스나 어르신 요양시설을 제공한다면 지역사회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 지역 일자리 창출 등 차원에서 지방은행에 대한 지원도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구구조 변화 과정에서 금융이 사각지대 영역을 발굴해 사회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박중호 맥킨지앤드컴퍼니 파트너는 이민자 금융 액세스에 필요한 절차를 간소화한 미국의 'Majority' 사례를 거론하며 "이민자 금융서비스 장벽 완화를 통한 인구 유입을 제고할 수 있다"고 짚었다.

임광규 한국은행 안정총괄팀장은 "고령자 투자 측면에서 리츠(REITS) 활성화도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가계가 과도한 차입을 통해 부동산을 직접 소유하기보다는 주택 임대 등 리츠투자를 통해 고령층의 안정적인 소득 흐름에 도움이 되고 가계의 유동성 문제도 완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후위기, AI 등 기술의 발전은 금융권에 위협이자 기회라는 진단이 나왔다. 금융위는 미래 변화에 따른 위험과 기회를 분석한 '미래금융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이에 대한 정책 대응 방향을 완화, 적응, 혁신의 3가지 관점으로 나눠 미래 금융정책 과제를 발굴·검토하고 있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이승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