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강한찬 일병, 74여 년 지나 백발 된 여동생 품으로
제6사단 소속, 6·25전쟁 첫 승리 ‘춘천지구 전투’서 전사
’08년 강원 춘천서 발굴,16년 만에 유전자 검사로 확인
[파이낸셜뉴스]
6·25 전쟁 당시 북한군 남하를 막다가 18세의 앳된 나이에 전사한 참전용사 신원이 확인돼 유해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008년 5월 강원 춘천시 동산면 일대에서 발굴된 유해의 신원을 고(故) 강한찬 일병으로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발굴 당시 고(故) 강한찬 일병의 유해. 사진=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 제공
6·25전쟁 당시 풍전등화의 위기에서 조국의 운명을 구하다 전사한 호국영웅의 신원이 지난 3일 확인돼 74여 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은 2008년 5월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일대에서 발굴된 유해의 신원을 6·25전쟁 당시 ‘춘천지구 전투’에서 전사한 고(故) 강한찬 일병으로 확인했다.
이날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유가족의 요청에 따라 대구광역시 서구에 있는 달성토성마을에서 열렸다.
고인의 신원이 확인되었다는 소식을 접한 조카 강영호(1955년생) 씨는 “아버지와 고모께서 평생 삼촌을 찾기 위해 노력하셨는데 이렇게 유해라도 찾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며 "병환으로 누워계신 고모께서 눈물만 흘리시는데 그 모습을 보고 가슴이 아팠다. 앞으로도 더 많은 6·25 전사자의 신원확인이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행사는 유가족에게 고인의 참전 과정과 유해발굴 경과 등을 설명하고, 신원확인 통지서와 함께 호국영웅 귀환 패, 유품 등이 담긴 '호국의 얼 함(函)'을 전달하며 위로의 말씀을 전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고인의 신원확인은 국군 장병들에 의한 유해발굴, 병적자료 검증을 통한 기동탐문,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채취 등 다양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이 11일 대구 서구 달성토성마을에서 고(故) 강한찬 일병의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를 갖고 유가족에게 고인의 참전 과정과 유해발굴 경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국유단은 전사연구를 토대로 2008년 5월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일대에서 발굴을 나선 결과, 개인호로 추정되는 곳에서 곧게 누운 자세로 있는 두개골과 정강이뼈 등을 발굴했다.
이후 국유단 기동탐문관이 고인의 병적자료에서 본적지가 경상북도 칠곡군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해당 지역의 제적등본 기록과 비교해 고인의 여동생 강길순(1940년생) 씨를 2024년 5월에 방문, 유전자 시료채취 및 유전자 분석을 통해 16년 만에 고인과의 가족관계를 확인했다.
고인은 국군 제6사단 소속으로, 6·25전쟁 최초의 승리를 거둔 ‘춘천지구 전투’에서 치열하게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다 장렬히 전사했다.
고인은 1932년 1월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2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유가족들의 증언에 따르면, 고인은 가정형편이 여의치 않아 부모님을 도와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유지했다.
입대 당시 병적이 확인되지 않아 입대 일자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정전 이후 1957년 2월경 발급된 전사확인서를 통해 ‘춘천지구 전투’에 참전한 사실이 확인됐다. ‘춘천지구 전투’는 6·25전쟁 개전일인 1950년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춘천 옥산포, 소양강, 봉의산 일대에서 북한군의 남하를 지연시킨 구국의 전투로 기록돼 있다.
그러나 고인은 전쟁 발발 3일 만인 1950년 6월 27일, 북한군의 남하를 치열하게 저지하다 18세의 꽃다운 나이로 장렬히 전사했다. 고인의 희생은 국군이 한강 방어선을 구축하고 유엔군이 참전할 시간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이 11일 대구 서구 달성토성마을에서 열린 고(故) 강한찬 일병의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에서 유가족 및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이로써 2000년 4월 유해발굴이 시작된 이후 신원이 확인된 국군 전사자는 총 235명으로 늘었다.
국유단은 6·25전쟁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참전용사와 유가족의 고령화 등으로 인해 유가족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며 발굴된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한 ‘시간과의 전쟁’을 하는 상황인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전국 어디에서나 가능한 유전자 시료 채취는 6·25 전사자의 유가족으로서, 전사자의 친·외가를 포함해 8촌까지 신청 가능하며, 제공한 유전자 정보를 통해 전사자의 신원이 확인될 경우 1000만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국유단 탐문관들은 각지에 유가족을 먼저 찾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유전자 시료 채취를 희망하지만 거동 불편, 생계 등으로 방문이 어려운 유가족은 대표전화로 문의하면 유전자 시료를 채취를 위해 직접 방문한다고 밝혔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