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사도광산에 조선인 동원 안내..용산 "日에 원하는 건 얻어"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관련
日정부, 조선인 동원 안내판 설치
대통령실 "강제 표현 없어도 읽어보면 자세히 기술"
"등재 전 선조치가 의미 있어"

사도광산에 조선인 동원 안내..용산 "日에 원하는 건 얻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의 지난 28일 안내판 모습. 이 안내판 주변에 사도 광산 조선인 노동 관련 사실을 전시한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이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 동원이 이뤄졌던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가운데, 대통령실은 29일 "일본에게 우리가 원하는 것은 얻어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가 조선인 노동자 전시실을 설치하면서 '강제 동원' '강제 연행' 등의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조선총독부가 관여해 조선인 징용과 모집을 했다는 것이 안내되는 등 누구나 강제성을 인지할 수 있게 안내 조치 됐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강제 동원'이란 표현은 명시적으로 하지 않았지만 도주한 걸 잡아가뒀다는 등의 내용을 자세히 기술한 것만 봐도 일본에서 강제동원을 인정한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강제'라는 단어를 빼는 것을 한일 정부 당국이 협의한 것인지에 대해 고위관계자는 "그것까지 협의할 순 없다"고 일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유네스코 유산등재 전에 일본 정부가 조선인 노동자 전시실을 여는 등 선조치를 했다"면서 "이러한 행동을 등재 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의 이번 '선(先)이행·후(後)등재' 조치는 지난 2015년 군함도(하시마 탄광) 등재 당시와는 다르다는 설명이다.

앞서 우리 외교부는 지난 27일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유산등재와 관련, 강제성 표현 문제는 2015년에 정리됐음을 강조하면서 "강제성 문제는 우리가 챙겨놓은 것이기 때문에 다시 한번 확인만 하면 되고, 더 나은 이행 조치를 챙기려고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 외교부가 소개한 사도광산에 설치된 주요 관련 전시물 내용에 따르면, 초기에는 조선총독부의 관여하에 '모집',' 관(官) 알선'이 순차적으로 시행됐고, 1944년 9월부터는 '징용'이 시행돼 노동자들에게 의무적으로 작업이 부여되고 위반자는 수감되거나 벌금을 부과받았다는 내용이 전시됐다.

아울러 한국인 노동자들이 바위 뚫기, 버팀목 설치, 운반과 같이 갱내 위험한 작업을 더 많이 했다는 기록이 있고, 노동 조건에 대한 분쟁과 식량부족, 사망 사고에 대한 기록도 있다. 한국인 노동자의 한 달 평균 노동일이 28일이었다는 기록과, 한국인 노동자들의 탈출과 수감 기록도 담겼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김학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