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금리 올린 日·금리 안 내린 美… '블랙먼데이' 원흉은

"급격한 엔 캐리 청산 공포 영향"
"美 경제지표 부진에 시장 불안"
연준 "침체 위기 아니다" 진화

지난 5일(현지시간) 전 세계 증시에 '검은 월요일'을 안겼던 폭락 사태의 핵심 원인이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일본을 향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가 폭락을 거들었다는 지적에 대해 침체 위기가 아니라며 긴급 진화에 나섰다.

금리 올린 日·금리 안 내린 美… '블랙먼데이' 원흉은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저렴한 엔으로 투자하다 '날벼락'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 전후로 발생한 국제적인 증시 폭락의 원인이 복합적이라고 지적했다.

금리 올린 日·금리 안 내린 美… '블랙먼데이' 원흉은
제롬 파월 美연준 의장

매체는 일단 코로나19 이후 성장세를 이어가던 미국 경제가 부진한 지표를 내놓으며 시장 불안을 키웠다고 분석했다. 1일 발표된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8개월 만에 가장 낮았으며 2일 공개된 같은달 실업률은 4개월 연속 올랐다. 미국 매체들은 또 3일 보도에서 미국 증시를 이끌던 대형 기술주 7개(매그니피센트7) 가운데 2·4분기 실적이 나오지 않은 엔비디아를 제외한 6개 기업의 연간 순이익 성장률이 29.9%로 전 분기(50.7%)에 크게 못 미친다고 분석했다.

불안으로 가득 찬 시장에 불씨를 당긴 것은 일본 엔으로 구성된 선물 상품의 무더기 '마진콜'이었다.

일본 엔의 가치는 코로나19 이후 미국 등 서방 은행들의 금리 인상에도 초저금리를 유지하던 BOJ의 정책에 힘입어 지난달 초 기준 약 37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내려갔다. 이에 다국적 투자자들은 금리가 저렴한 일본에서 엔으로 자금을 조달해 금리가 높은 미국 등에 투자하는 이른바 '엔 캐리 트레이드' 수법을 이용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일본 시중은행들이 해외 차입자에게 빌려준 엔은 약 1조달러(약 1373조원)로 2021년 대비 21% 늘었다. 그러나 BOJ는 지난 4월과 7월 31일에 연속으로 금리를 올려 15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0.25%)까지 인상했다. 엔 가치는 7월 인상 이후 약 1주일 동안 7.5% 가까이 급등했다. 이 영향으로 선물 계약으로 엔을 조달했던 투자자들은 중개사에서 추가 증거금 요구(마진콜)를 받았고 시장에서 엔을 사들여 이를 막았다. 그 결과 엔 가치는 더 올라갔다. 결국 지난주 쏟아지는 마진콜을 막지 못해 전 세계적으로 다량의 선물 계약이 강제 청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누구 책임인가?

일본 전문가들은 갑자기 금리를 올린 BOJ를 향해 불만을 쏟아냈다.

일본 라쿠텐증권 경제연구소의 아타고 노부야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5일 미국 매체들을 통해 "BOJ는 경제 지표와 시장에 대해 겸손해야 한다"면서 "지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했다는 것은 통계자료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비난했다.

일본 다이와증권의 이와시타 마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은 금리 인상이었다"면서 "이제 BOJ는 다음 조치를 취하기 전에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에 진입할지, 연착륙할지 지켜봐야 한다. 적어도 9월이나 10월의 금리 인상 논의는 힘들게 됐다"고 말했다.

라쿠텐의 아타고는 "정치적 요인이 배경에 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엔 가치 하락에 대처하기 위해 정치권과 BOJ가 소통한 결과로 해석한다"고 말했다.
그는 당국이 물가 억제와 환율 방어를 위해 금리를 올렸지만, 일본의 소비와 생산 지표가 금리 인상을 감당하기에는 너무 미약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집권 자민당의 모테기 도시미쓰 간사장은 지난달 22일 강연에서 "단계적인 금리 인상 검토를 포함해 금융정책을 정상화할 방침을 더욱 명확히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차기 총리 후보로 꼽히는 고노 다로 디지털상도 외신 인터뷰에서 "엔이 너무 저렴하다"며 기준금리 인상을 요구했다.

박종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