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휴전 불씨 꺼지자… 중재 나선 인도, 안보이는 미국['두개의 전쟁' 버거운 미국]

러-우크라 전쟁도 격화
우크라, 러 본토 침공에 새 국면
휴전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져
젤렌스키 만난 모디 총리 역할 주목

휴전 불씨 꺼지자… 중재 나선 인도, 안보이는 미국['두개의 전쟁' 버거운 미국]
우크라이나가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지 33주년을 맞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수도 키이우에 전시 중인 파손된 러시아군 장갑차 위에 우크라이나 깃발이 놓여 있다. AFP연합뉴스
발발 900일을 넘어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격화일로다. 개전 3년차를 맞으며 교착상태였던 전쟁이 우크라이나군의 러시아 본토 침공으로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한때 물밑에서 협상이 진행된 것으로 알려진 휴전 가능성은 거의 사라진 상태다.

26일 외신 등에 따르면 한동안 잠잠했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다시 격화된 것은 지난 6일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 너머 공격을 시작하면서다. 지난 2022년 2월 24일 러시아 침공으로 전쟁 발발 후 빼앗긴 영토 수복에만 군사력을 집중했던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영토를 처음으로 침투한 것이다.

지난해 말부터 미국 언론을 통해 제기됐던 물밑 휴전협상은 이번 공격으로 사실상 '시계제로' 상태가 됐다.

우크라이나의 기습공격에 당황한 듯 보였던 러시아도 즉각 공격의 강도를 높이며 우크라이나 동부 점령지 확대에 속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적은 합당한 대응을 받고, 우리가 직면한 목표는 달성될 것"이라는 강력 대응 의지를 내비쳤다. 이어 러시아군은 쿠르스크, 벨고로드, 브랸스크 등 우크라이나군 위협을 받는 접경지 3곳에 작전사령부를 설치했으며 연방국과 우방국에 도와달라며 손을 내밀고 있다. 실제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연방국가인 체첸공화국을 지난 20일 깜짝 방문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 파병을 앞두고 있는 자원병을 격려했다. 이번 방문의 목적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러시아에 대한 체첸군의 충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러시아의 대표 우방국인 벨라루스도 국경지역에 군사력을 집중 배치하며 우크라이나 압박에 나섰다.

이에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25일 벨라루스가 훈련을 가장해 우크라이나 북부와 접한 국경을 따라 상당수 병력과 무기를 증강하고 있다며 즉각적인 철수를 요구했다. 우크라이나는 국경에서 30㎞ 이내에 있는 고멜 인근에 탱크와 포병, 다연장로켓시스템(MLRS), 방공시스템 등 무기와 특수작전부대를 집중 배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외무부는 이 지역에서 전직 바그너그룹 용병도 포착됐다고 전했다. 벨라루스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당시 자국 영토를 통할 수 있도록 간접 지원했지만, 직접 군사력을 투입한 적은 없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중재자 역할을 자처한 인도의 역할이 향후 러·우 전쟁 종전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간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던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23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만나 평화협상을 위한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는 뜻을 전하면서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찾은 모디 총리는 "인도는 평화를 위한 모든 노력에 적극적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며 "우리(인도)는 확고한 신념으로 전쟁을 멀리해왔다. 그렇다고 무관심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인도는 지난 6월 스위스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평화정상회의에 대표단은 파견했으나, 당사국인 러시아가 초청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공동성명엔 참여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는 11월 개최를 목표로 2차 평화정상회의를 준비 중인데, 이번엔 러시아도 초청할 계획이다.


오는 11월 예정된 미국 대선 결과가 러·우 전쟁 흐름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대선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차기 대통령이 되면 수많은 목숨을 앗아가고 수많은 무고한 가족을 파괴한 전쟁을 끝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젤렌스키 대통령이 "영토를 희생하지 않고 우리 국민들 희생하지 않는, 그런 계획이 있다면 찬성한다"는 입장을 확고히 하고 있어 실제 휴전 종전협상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longss@fnnews.com 성초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