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캐나다식 연금투자방식 도입...'연금 소진 기한 연장' 효자 될까

연금개혁 추진계획, 기준포트폴리오 내년 도입 명시
장기기금운용수익률 5.5%…정부 "1%p 더 상향"
투자 칸막이 해소, 수익률↑…"무조건적 낙관"우려


캐나다식 연금투자방식 도입...'연금 소진 기한 연장' 효자 될까
주요 연기금 자산, 슈익률 현황. 자료:보건복지부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국민연금 투자수익률을 1%포인트(p) 상향 조정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캐나다 연금투자(CPPI)의 자산운용방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CPPI는 연기금 중 기준 포트폴리오를 가장 먼저 도입했고 대체투자 비중이 높다. 전통적인 주식, 채권 투자를 넘어 '고위험·고수익 전략'을 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일 정부가 최근 공개한 '연금개혁 추진계획'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에 기금수익률 '1%포인트(p)+알파(α)'가 포함됐다. 장기 기금운용수익률을 현행 4.5%에서 5.5%로 1%p 높이겠다는 것이다.

국민연금 기금은 지난해 말 기준 1036조원으로 세계 3위 규모다. 지난 1988년 이후 지난해 말까지 누적 수익률은 5.92%다. 세계 주요 연기금 대비 양호한 수준이라는 게 보건복지부 평가다.

정부는 '연금개혁 추진계획'에서 기금운용수익률을 1%p이상 더 올리겠다고 밝혔다. 기금수익률을 1%p 높이면 보험료율 2%p 제고 효과를 볼 수 있다.

복지부는 "모수개혁과 기금수익률을 1%p 높일 경우, 현행 2056년 기금소진 시점을 2072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고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국민연금 자산배분체계를 대폭 손보는 방안을 연금개혁 추진계획을 통해 제시했다. 수익률 높은 해외·대체투자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는 게 핵심이다.

해외·대체투자 강화는 올 상반기 중 도입된 기준포트폴리오와 함께 이미 제시됐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는 지난 5월 기준포트폴리오를 도입하는 내용의 자산배분체계 개편안을 의결했다. 내년부터 대체투자에 도입한다.

기준 포트폴리오는 수익률과 위험군을 위험자산(주식,) 안전자산(채권) 등 단순한 자산군의 조합으로 나타낸 자산 배분체계다. 20년 이상을 투자기간으로 한다. 사전에 정해진 자산에만 투자가 가능한 방식에서 벗어나 자산 배분 조합을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으로 단순화해 '투자 칸막이'를 없애겠다는 취지다.

실제 국민연금은 그동안 5년 단위 중기 전략적 자산배분(SAA)을 통해 국내주식과 해외주식, 국내채권, 해외채권, 대체투자 등 자산별 비중 등을 설정해 왔다. 이러한 자산배분 체계는 기금의 안정적 운용에는 중요하지만 신규 상품이 상시로 등장하는 최근 금융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국민연금 기준포트폴리오 벤치마킹 대상은 CPPI다. CPPI가 연기금 중 가장 앞서 2006년부터 기준포트폴리오 체계를 도입했고 대체투자비중이 50%를 넘어선다. 수익률도 양호하다. 주식, 채권 가격이 동반하락한 2022년 CPPI는 5%의 손실을 기록, 국민연금(-8.2%)보다 폭락장서 진가를 발휘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CPPI의 자산비중은 주식 24%, 대체투자자산 51% 등이다. 국민연금의 주식 45.2%, 대체투자자산 15.9% 등과 차별화돼 있다. 지난 2000년 이후 수익률은 국민연금 6.1%, CPPI 7.0%다.

복지부 이스란 사회복지실장은 "현재 국민연금 위험자산비중은 58%이고 65%정도까지는 가야만 장기기금 운용수익률 5.5%가 나온다"며 "투자자산 다변화, 대체투자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기준포트폴리오 도입 효과는 미지수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위험자산 비중을 늘리면 수익률을 제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뿐"이라며 "무조건 수익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낙관에 머물러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