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진료체계 등 버티고 있지만 인력부족 '심각'
1~2명만 이탈해도 정상적 응급실 운영은 불가능
수가보상이나 군의관 파견도 결국은 '땜질' 처방
응급실 앞에서 구급차가 환자 이송을 준비하고 있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의정갈등 장기화가 지속되자 10월 응급실 운영 중단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충북 지역 유일한 상급종합병원이 부분 운영 중단을 선언하자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대부분의 병원 응급실이 이미 최소한의 인력으로 무리하며 24시간 진료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어떤 변수로 응급실 의사 1~2명이 이탈한다면 정상 진료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26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충북 유일의 상급종합병원인 충북대병원은 내달 2일을 시작으로 매주 수요일 오후부터 목요일 아침까지 성인 환자 응급실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응급 대응은 중단하지만 권역외상센터와 소아청소년과는 기존 그대로 24시간 운영할 예정이다.
충북대병원은 강원대병원, 경북대병원, 경상대병원, 부산대병원, 서울대병원,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남대병원과 함께 10개 국립대학병원이며 충북 지역에서는 유일한 상급종합병원이다.
최근 무더웠던 날씨가 급격하게 하강하고 가을로 접어들면서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뇌혈관 관련 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정부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응급의료 역량은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떨어지고 있다.
충북대병원은 지난달 중순 응급실 운영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바 있다. 당시 충북대병원은 6명의 전문의 중 2명이 병가와 휴가로 자리를 비우면서 과도한 업무에 따른 의사들의 탈진을 막기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바 있다. 과도한 연속근무를 할 경우 진료 대응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환자를 위험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정갈등 전 충북대병원에는 전문의 6명, 전공의 9명, 인턴 6명 총 21명이 근무했지만 현재 전문의 5명만 당직을 서며 업무를 보고 있다. 24시간 응급실을 정상적으로 가동하면 남은 의료진의 과부하가 심각해져 응급 대응을 받는 환자들도 위험해질 수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411개 응급실 가운데 5개 응급실의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대목동병원, 세종충남대병원, 건국대충주병원, 강원대병원이 일부 시간 응급실 운영을 제한하고 있고 명주병원은 응급실 운영을 중단했다. 충북대병원이 매주 수요일 야간 운영을 중단하면 차질을 빚는 응급실은 6개로 늘어난다.
지난 2월 말 전공의들의 의료 현장을 대거 이탈하면서 생긴 의료공백이 응급실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는 셈이다. 현재 정부는 비상진료체계 등을 통해 진료 기능을 유지하고 있지만 문제는 충북대병원 뿐만 아니라 다른 병원들도 적은 인원이 당직을 돌아가는 상황은 마찬가지기 때문에 다른 병원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전공의들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병원들은 버틸 수 있는 여력이 있겠지만 전공의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병원들은 이미 한계가 찾아온지 오래기 때문에 누구 하나가 그만두는 일이 생기면 응급실 운영 전반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의료계는 수가 보상은 '땜질식' 처방에 불과하고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 파견 역시 한계가 명확하다고 보고 있다.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장은 "응급실을 이미 무리하면서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누구 하나라도 문제가 생겨 업무에서 이탈하면 버틸 수 없다"며 "정부가 수가를 높이는 등 인센티브를 주고 있지만 돈 문제가 아니라 응급실에 올 사람이 없고, 응급의학과를 나오지 않은 의사를 데려다 놓는다고 해서 대응력을 높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충북대병원 뿐만 아니라 지금 많은 병원 응급실이 무리를 해서 운영을 하고 있고, 때문에 다른 병원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더 큰 문제는 의정갈등으로 수련체계 유지가 어려워졌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응급실 인력 수급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