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희생자 4명 장례 아직인데… 발길 끊긴 합동분향소 지하로

화성 아리셀공장 화재 100일 지나
경기도청 로비서 지하로 축소·이전
일상 찾은 모습에 유족들은 쓸쓸

희생자 4명 장례 아직인데… 발길 끊긴 합동분향소 지하로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 초기 마련된 경기도청 합동분향소에서 김동연 지사가 조문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희생자 4명 장례 아직인데… 발길 끊긴 합동분향소 지하로
지하1층으로 축소·이전된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 경기도청 합동분향소. 처음의 모습과 비교해 초라하고 쓸쓸하게 운영되고 있다. 사진=장충식 기자
【파이낸셜뉴스 수원=장충식 기자】 23명의 생명을 앗아간 경기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가 100일을 넘긴 가운데 경기도청이 운영하는 합동분향소가 1층 로비에서 지하 1층으로 축소 이전돼 운영되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태원 참사를 반면교사로 삼아 경기도는 확실히 다르게 해 보이겠다"며 이례적으로 피해자 유가족들에게 긴급생계지원금까지 지급하며 대처에 나섰던 것과 비교하면 쓸쓸하고 초라한 모습이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9월 30일부터 1층 로비에서 운영하던 화성 공장 화재 합동분향소를 지하 1층으로 축소 이전해 운영하고 있다. 분향소 축소 이전 이유에 대해서는 장기화된 운영으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등을 들었다.

사고 발생 이틀 후인 지난 6월 26일부터 운영을 시작한 분향소는 수백 송이의 국화꽃이 희생자들의 영혼을 위로했고, 조문객들도 잇따랐다. 김동연 지사 역시 매일 아침 출근길에 들려 조문을 하며 사회적 참사에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지하 1층으로 축소 이전된 분향소에는 조화로 교체된 국화꽃이 초라하게 장식돼 있었으며, 조문객들의 발길이 끊긴 지도 오래됐다. 방명록에는 이름이 쓰여 있었지만, 조문객 수를 집계하지 않는 탓에 이들이 언제 다녀갔는지는 알 수 없었다.

처음 분향소가 위치해 있던 1층 로비는 예전 모습으로 복원됐고, 분향소 이전을 알리는 표지판은 찾아볼 수 없었다.

아리셀 공장 화재 분향소 축소 이전이 더 씁쓸하게 느껴지는 것은 김동연 지사와 경기도가 그동안 보여준 적극적인 모습 때문이다. 김 지사는 지난 7월 3일 기자회견을 열고, 아리셀 공장화재 사고 유가족과 피해자에게 최대 550만원의 긴급생계비 지원 계획을 발표하는 등 이례적인 지원대책을 내놨다. 또 사고의 전 과정에 걸쳐 부족했던 점과 미흡했던 점을 전부 찾아내 백서로 만들고, 앞으로의 재난 예방과 대처의 교본으로 삼겠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사회적 참사에 대해 피해자와 유족에게 긴급생계안정 지원을 하는 것은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중앙정부에서도 유례가 없는 일이라는 점에서 경기도의 대처 방식에 "이태원 참사 때와 다르다"는 관심이 집중됐다.

김 지사는 "이번 사고를 보면서 이태원 참사를 떠올렸다. 이태원 참사를 반면교사 삼아서 있는 그대로 사실과 정보, 경기도 대응 상황을 투명하게 국민에게 적극 알리도록 해달라"고 당부하면서 "경기도는 이번에 확실히 다르게 해 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분향소를 지하 1층으로 이전한 것에 대해 김동연 지사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용두사미' 대처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가 잊혀가는 것을 특정인의 잘못으로 돌리기는 어렵다.

경기도청과 화성시청에 설치된 분향소의 종료 시점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23명의 희생자 가운데 아직도 4명이 장례를 치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희생자들의 장례절차가 모두 마무리돼야만 분향소 운영도 종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도 남아 있는 유가족들은 지지부진한 협상에 매일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며 아리셀 공장 화재 참사 100일을 지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참사 초기 적극적인 대처로 관심을 모았던 김동연 지사의 노력과 강한 의지가 더디게 진행되는 유족들과 아리셀 측의 협상 과정에 또 한번 발휘되기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화성 공장 화재 참사는 유가족들의 협상 지연 등으로 마무리되지 못하고 있다"며 "장례절차가 종료되면 백서 작성과 같은 기존 계획을 차질 없이 진행해 또 다른 사회적 참사 예방을 위해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