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노인 일자리 대부분 단순노무... 고학력·고숙련 인력 활용 필요

경제적인 이유로 노동시장에 오래 남아서 일하기를 희망하는 고령층은 늘고 있지만 정작 이들을 위한 일자리는 저임금이거나 단기 일자리가 대부분인 상황이다. 또 일자리는 대부분 단순노무에 그치고 다양하지도 않아 그동안의 경력과 관련성을 살리지 못하고 사회적인 자산이 낭비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고령층(55~79세)이 희망하는 임금 수준은 200만원~250만원 미만이 19.4%로 가장 높았다. 300만원 이상을 희망하는 비율도 19.3%로 근소한 차이로 많았다.

그러나 이런 희망과 달리 노인 일자리 임금 수준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 따르면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한 올해 8월 기준 월평균 임금을 보면 가장 많은 비율(65.4%)을 차지하는 공익활동의 한달 벌이는 29만원에 그쳤다. 정부에서 보조금을 받고 노인을 채용하는 방식의 시장형 사업단도 월평균 임금이 38만원가량이다. 정부가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예산을 확대하고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대부분이 저임금에 머물러 있는 만큼 고령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 관계자는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적정 소득 보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임금을 인상하고 있다"면서 "(임금이 적은) 공익활동 일자리 사업량은 적정 수준을 유지하되 비중을 2023년 68.9%에서 2027년 60%로 점진적으로 축소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특히 과거와 달리 최근의 고령세대는 고숙련 고학력자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고령인력 중 대졸 이상 비중이 2010년 15.1%에서 2020년 24.7%로 높아진 상황. 또 과거에는 고령층의 일 선택기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임금수준이었다면 이제는 '일의 내용'이 중요하다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는 것은 중요한 변화다. 더 이상 단순노무 위주의 일자리로는 이들을 만족시킬 수 없는 상황이 된 셈이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는 '고령층 일자리의 재발견: 고령층의 노동력 공급과 생산성 향상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향후 고령층에 편입되는 인구는 과거와 달리 고학력 고숙련 비중이 높아 이들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동인구 감소와 노동생산성 저하 문제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다만 고령층 노동력을 확충하는 과정에서 임금수준에 맞는 생산성 유지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젊은층과 경합적이지 않은 일자리 창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 이니셔티브 김천구 연구위원은 "고령층이 선호하거나 업무상 이점을 갖는 고령친화적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들이 직업환경에 관한 파악과 난이도 분석을 통해 고령 근로자들이 가진 특징이나 경험들이 활용될 수 잇는 근로분야를 발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