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전공자율선택제 성과 공유회' 개최
전공 선택 기준 '성적' 대다수
'취업 전공' 쏠림 우려 여전
[서울=뉴시스] 전국국공립대학교 인문대학장 협의회-전국사립대학교 인문대학장 협의회가 지난 1월24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서 교육부가 추진하는 무전공 모집에 대한 전국 인문대학장의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DB). 2024.10.21. photo@newsis.com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내년부터 대학교의 무전공(자율전공) 선발 규모가 정원의 3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공 선택의 자율성을 확대한다는 취지에도 결국 최종 전공을 정할 때 기준으로 '성적'을 둔 대학이 대다수다. 인기 전공으로의 쏠림현상과 기초학문 등 비인기 전공의 방치가 오히려 무전공 바람을 타고 늘어날 우려도 나온다.
교육부는 21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전공자율선택제 성과 공유회(포럼)'를 열고 확대 전 대비 방안 논의와 우수사례 공유에 나섰다. 특히 정책 대상자인 대학생이 직접 정책에 대해 건의사항이나 안착 방안을 제안하는 시간을 마련해 수업권 침해 등 우려 내용을 도마 위에 올렸다.
정부는 대학생들에게 원하는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 줘야 한다며 이른바 '무전공 학과'로 불리는 전공자율선택제 선발 규모 확대를 유도해 왔다.
무전공 선발로 입학한 학생은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게 된다. 교육부는 대학재정지원사업을 활용해 '25% 이상 무전공 선발' 확대를 독려했다. 대학혁신지원사업 예산(8852억원)의 절반, 국립대육성사업 예산(5722억원)의 60%를 투입해 총 7836억원의 인센티브를 대학에 제공하기로 했다. 수도권 51개 대학과 국립대 22개교의 무전공 선발 비중은 2024학년도 6.6%(9925명)에서 내년 28.6%(3만7935명)로 확대됐다.
발제를 맡은 하연섭 연세대 미래캠퍼스 부총장에 따르면 대학 59곳의 평균 무전공 선발 규모는 모집인원의 31.1%에 달했다. 전공을 정하지 않고 모집하는 '유형 1'은 평균 12.85%, 학부·계열을 정해놓고 뽑는 광역모집 방식의 '유형 2'는 19.82%로 나타났다.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유형 2' 가운데 전공 선택 기준으로 '학점'을 내세운 대학은 44곳 중 15곳(34.1%)에 달했다. '학생 희망에 따라 자유 선택'은 12곳(27.3%), 대학 내 상담을 통해 정하는 대학은 7곳(15.9%)에 머물렀다.
[세종=뉴시스] 하연섭 연세대 미래캠퍼스 부총장 연구진이 21일 교육부 '전공자율선택제 성과 공유회'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 광역모집에 해당하는 전공자율선택제 '유형2' 중 가장 많은 34.1%는 학생들의 전공을 선택하는 기준을 학점으로 정하고 있다. (자료=교육부 제공). 2024.10.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사진=뉴시스
사실상 전공 선택을 1년 유예하는 동시에 '입시 경쟁'을 연장시킨 모양새다. 계열·단과대의 인기학과 쏠림, 기초학문 외면과 부실화 문제 등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다.
하 부총장은 이날 '전공자율선택제 정착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 교원과 재정, 공간 등 학내 자원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학과별 교원 배정 방식 대신 수강생 수를 기준으로 교원을 배정하는 등 탄력적으로 자원을 운용하는 한편 기초학문 보호와 교양교육 활성화 노력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교육부 2030자문단 대학정책분과의 김상천 경북대 학생은 "학생들이 제도 자체를 반대하는 의견은 적진 않지만 대다수는 아닐 것"이라고 했다.
다만 "수업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인기 학과의 경우 학생 수에 비해 교수, 강사, 강의실이 부족해 개설 강의 수가 부족한 문제가 있는데, 이런 문제가 더 심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학업·진로 설계에서부터 선후배 동기 네트워킹, 자치·휴식·활동 공간 등 학생 체감이 가능한 지원 대책 필요하다"며 "신입생의 학교 생활과 진로 설계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방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들의 전공선택권을 확대하면서도 인문사회, 자연과학 등 기초학문이 학문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전공자율선택제가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대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