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KB·우리금융 직격한 이복현 “정기검사서 면밀히 점검”

이복현 금감원장, 29일 임원회의서 당부
“KB금융 평판위험 확대 우려...운영리스크 관리 살펴야”
“외형 확장하는 우리금융, 잠재리스크 감당 여부 점검”

KB·우리금융 직격한 이복현 “정기검사서 면밀히 점검”
지난 24일 오전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정감사에 출석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병환 금융위원장.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이복원 금융감독원 원장이 29일 KB금융그룹의 인도네시아 자회사가 매년 적자를 기록하며 평판 위험이 확대되는 것을 두고 운영리스크 관리에 안일함이 없는지 면밀히 감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금융그룹에 대해서도 현 경영진의 내부 통제 수준으로 동양생명·ABL생명 인수 등 외연 확장 과정에서 리스크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지 점검하라고 주문했다.

이 원장은 29일 임원회의를 통해 “최근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은행 등의 금융사고와 해외 현지법인 투자, 운영 부실 등에 대해 정기검사 과정에서 면밀히 점검하고 근본적 개선을 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금감원은 우리금융과 KB금융에 대해 이례적으로 동시에 정기검사를 진행 중이다.

우선 이 원장은 KB금융의 해외 현지법인 투자결정과 전산시스템 개발 과정의 문제, 콜센터 업무위탁 관리 등과 관련한 반복적 지적은 평판위험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운영리스크 관리에 안일함이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금융 현 경영진이 초래할 수 있는 잠재 리스크로 △조직문화의 기저를 이루는 파벌주의 용인 △금융사고에 대한 안일한 인식 △합리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경영체계 지속으로 건전성과 내부통제 약화를 초래할 위험 등을 꼽았다. 이 원장은 이러한 운영리스크와 건전성 문제 등이 그룹 전반으로 전이될 수 있는 위험성도 면밀히 관리해 나가라고 당부했다.

올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KB국민은행의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KB뱅크(옛 부코핀은행)의 부실 경영이 도마 위에 올랐다. KB뱅크의 적자는 2020년 434억원, 2021년 2725억원, 2022년 8021억원, 지난해 2613억원, 올해 상반기 1515억원 등으로 지속되고 있다. 우리은행도 부당대출 사태 논란에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이 직접 국감 증인으로 출석해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며 사과한 바 있다.

아울러 이 원장은 대내외 시장 불안요인과 관련해서도 고도의 긴장감을 가지고 철저히 업무에 임해달라며 당부했다. 그는 "최근 기준금리 인하에도 금리, 환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대내외 불안요인이 산적해 연말로 갈수록 돌발적 위험 발생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 원장은 "미국 대선, 지정학적 위험, 주요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이 결부돼 주가·금리·환율 변동성이 예상치를 벗어나 거액 손실 또는 유동성 충격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철저한 리스크 관리 및 내부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환율·고금리 여파가 누적된 상황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및 취약 중소기업·자영업자의 부실이 중소금융회사 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면서 "철저한 모니터링 및 위기상황을 가정한 대비책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부동산 PF의 경우 건설경기 부진 등으로 여전히 불확실성이 큰 만큼 정리대상 사업장은 신속하게 경·공매, 상각 등을 추진해 달라"며 "주택공급이 가능한 정상, 재구조화 사업장에 대해서는 금융권 신디케이트론 등을 통해 원활한 자금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적극 관리해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최근 금융의 디지털화 등으로 은행 점포 및 ATM 감소 현상이 지속되고 있어, 고령자·장애인 등을 위한 금융접근성 제고를 주요 금융감독 어젠다로 설정해 적극적으로 관리해달라”고 독려했다. 지난 6월말 기준 은행 점포와 AMT은 각각 5724개, 2만7347개로 2019년 말(6738개, 3만6382개)에 비해 크게 줄었다.

끝으로 이 원장은 “은행 점포폐쇄 내실화 방안의 충실한 이행을 지도하고, 은행간 공동점포, 공동 ATM, 이동점포 등 소비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대체수단 강구 및 활성화 유도해야 한다”며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금융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각 금융회사의 장애인 업무매뉴얼과 인프라를 점검하고 미흡사항을 개선하는 등 장애인 금융거래 지원 제도의 실효성도 제고해야 한다”고 짚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