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북한군 3천명 이상, 러 서부 교전지역 근처 이동"
실제 전선투입 여부엔 "정보 없다"
국방정보본부 "개연성은 있다"
北 11월 핵실험엔 "언제든 결행 가능"
우크라이나 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가 최근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인들이 줄을 서서 러시아 보급품을 받고 있다고 공개한 영상. (출처=SPRAVDI 페이스북)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이후 실제 우크라이나 전선 투입 여부를 놓고 대통령실은 30일 일단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국방정보본부는 파병된 북한군 중 일부 선발대가 전선에 투입됐을 개연성이 있다고 봤지만, 대통령실은 3000명 이상의 북한군이 이미 러시아 서부 교전지역 근처로 이동했다는 내용 정도만 밝혔다.
다만 단계적 대응과 관련해 북한군이 우크라이나와의 전투를 개시하는 시점에 다음 단계에 맞는 대응을 할 것임을 밝히면서, 북한군의 전선 투입을 최종 확인하는 순간 본격적인 대응을 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 우크라이나에서 우리나라에 특사를 보낼 계획으로 한국과 우크라이나 당국은 이번 주에 특사파견 계획을 논의한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이날 서울 용산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와 우방국 정보당국은 이미 실행된 북한군 파병 규모를 최소 1만1000명 이상으로 판단하고 있고, 그 중 3000명 이상은 이미 러시아 서부 교전지역 가까이로 이동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위관계자는 "서부 지역이라고 해도 수천명의 인원을 특정한 한자리에서 수용하긴 불가능할 것"이라면서 "몇 군데로 나눠서 현지 적응훈련을 하는 것으로 알고 계시면 되겠다"고 설명했다.
북한군의 전투 참여 여부에 대해 고위관계자는 "어느 지역으로 언제 얼마만큼 보내서 전투를 시작한다는 것은 아직은 우리가 그들의 전략을 마음 속에 들어가서 확정할 수 없다"며 답변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특사의 방한 계획을 밝힌 고위관계자는 특사와 구체적으로 우리나라가 우크라이나와 어떤 협력을 할지 논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우크라이나에서 우리 측에 포탄지원을 요청한 적이 없음을 분명히 한 고위관계자는 "무기 지원도 방어와 공격 지원이 있는데 설사 무기 지원 이야기가 논의돼도 1차적으로 방어무기를 이야기하는 게 상식적"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방정보본부는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중 일부 선발대가 전선에 투입됐을 개연성이 있다고 밝혔다고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전했다.
국방정보본부는 파병 북한군 동향과 관련, "쿠르스크 등 전장으로의 이동이 임박해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폭풍군단(북한군 11군단) 지휘관 일부가 선발대로 현지에 갔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파병된 북한군이 전선에 투입됐다는 정확한 정보는 아직 없다고 선을 그은 국방정보본부는 북한군 전사자 발생 여부에 대해서도 "뒷받침할만한 정보는 없다"고 답했다.
이와 달리,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이미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었다는 서방 정보 당국의 전언이 나오면서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의 입장 변화도 감지된다. 그간 북한의 러시아 파평설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왔던 미국과 나토는 북한이 우크라이나 침공전에 본격 가세하면서 한국 정부와 후속 대응 등에 대한 논의도 진행하기로 했다.
CNN 방송은 29일(현지시간) 2명의 서방 정보 당국자를 인용해 "소수의 북한군이 이미 우크라이나 내부에 침투했다"면서 "당국자들은 북한군이 러시아 동부에서 훈련을 마치고 최전선으로 이동하게 되면 침투 병력 규모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 당국자는 "상당수의 북한군이 이미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북한의 11월에 핵실험이 가능한지에 대해 "핵실험은 비교적 준비 시간이 짧아 언제라도 결행을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가능성에 대해선 "준비시간이 어느 정도는 걸리지만, 그것도 역시 가속화해서 실행할 수가 있다"며서도 "최근에 그런 동향이 몇번 관찰됐으나 중간중간에 끊기고 멈추고는 했다. 현재 급박하게 진행되고 있는 사항은 없다"고 설명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최아영 성초롱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