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부톤섬의 찌아찌아족의 한 학교에서 학생들이 한글을 이용해 현지 언어를 배우고 있다. 사진=NYT
인도네시아 부톤섬의 찌아찌아족의 한 학교에서 학생들이 한글을 이용해 현지 언어를 배우고 있다. 아이들 책상위 이름이 한글로 쓰여있다. 사진= NYT
[파이낸셜뉴스] 한글을 도입해 고유 언어를 기록해 온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의 사례가 미국 언론에 집중 소개됐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4일(현지시각) 한글로 자신들의 고유 언어를 표기해 온 인도네시아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을 민족 정체성 보전의 성공 사례로 전했다.
인도네시아 술래이시섬 남동쪽 부톤섬에 거주하는 인구 약 9만3000명의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은 수세기 동안 문자가 없이 구전으로만 언어가 전해졌다. 인도네시아는 많은 소수민족과 부족이 있어 토착어가 700개가 넘는다. 부톤섬에만도 찌아찌아족 토착어와 거의 20개의 방언이 있다. 대부분은 문자가 없어 언어도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찌아찌아어 보존주의자들은 처음에는 아랍어 문자를 사용하려고 했다. 로마자로는 쉽게 음역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부톤섬에서는 대부분 사람들이 1500년대부터 아랍어 문자로 쓰여진 월리오 방언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도 한 이유다.
그러던 중 2009년 한국 학자들은 찌아찌아어가 음절 위주 언어인 한국어와 발음이 비슷하다는 사실에 착안, 한글 전파를 시도했다. 이후 15년이 지난 현재 찌아찌아족의 아이들은 학교에서 한글로 조상들의 언어를 익히고 있다.
교사 부족 등으로 한글 사용이 10년 가량 보류됐지만 2020년 한글을 사용한 사전이 출판된 뒤 새로운 추진력을 얻었다.
한글 도입 초기 직접 한국에서 한글을 배워 현지에 전파한 찌아찌아족 원주민 아비딘은 “한글과 찌아찌아어 음조와 발음이 정확히 같지는 않지만 정말 비슷하다”라며 "우리는 언어를 보존하기 위해 한글과 알파벳을 섞어서 독특한 찌아찌아어 표기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현재 찌아찌아족이 거주하는 지역의 거리, 학교, 공공 시설의 이름은 로마자와 한글로 표시돼 있다.
학교에서는 자체 교과서를 만들어 4학년에서 6학년 학생들에게 한글 문자를 가르친다.
뉴욕 타임스는 "언어가 멸종되면 그 부족의 정체성, 지역적 지혜도 사라질 것"이라는 현지 사회학자의 발언을 소개하며,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사용해 정체성 보전에 성공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