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매니저 스콧 베센트가 지난 8월14일(현지시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애시빌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선 후보 선거 유세에서 말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아직 지명되지 않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재무장관은 관세 부과를 강력하게 지지하는 인물에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놓은 수입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에 중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미국 기업들은 대책에 분주해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당선인이 차기 미국 재무장관 후보들로부터 관세 부과 이행을 지킨다는 약속을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관세 부과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부활과 일자리 창출, 물가 인하를 이끌어낼 것이라며 자신의 통상 정책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예고해왔다.
트럼프의 계획에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일괄적으로 관세를 10~20%를 부과하고 중국산에는 60%를 매긴다는 방침이다.
현재 재무장관 후보로 헤지펀드 매니저 스콧 베센트와 트럼프 정권 인수팀 공동 의장이자 캔터피츠제럴드 최고경영자(CEO)인 하워드 러트닉이 거론되면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두 사람 모두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존경받고 있으며 관세 부과를 비롯해 정통 경제인들이 기피하는 트럼프의 경제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해왔다.
러트닉은 대선전 뉴욕 매디슨스퀘어가든에서 열린 트럼프 지지 유세에서 “언제 미국이 위대했었냐? 125년전이다. 당시 소득세라는 것은 없었고 관세 밖에 없었다”라고 말했다.
베센트는 지난 15일 폭스뉴스에 기고한 글에서 “관세는 미국 국민들을 위한 수단”이라며 지지를 나타냈다.
헤이먼자산운용의 창업자 카일 배스는 지난주 소셜미디어 X를 통해 베센트가 시장과 경제, 국민, 지정학 문제를 누구보다 더 잘 이해하고 있다며 시장에서는 그가 지명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드포인트의 댄 로브도 투자자들에게 물가상승(인플레이션)과 시장에 대한 믿음을 줄 수 있는 재무장관이 필요할때라며 베센트 지지를 나타냈다.
CNN비즈니스는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주 재무장관으로 베센트로 마음을 굳힌 가운데 러트닉이 적극적으로 관세 부과 계획을 전격 지지한다고 강조하며 막판 공세를 펼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당선인 본인이 관세 부과를 결심한 이상 재무장관이 누구냐는 의미없으며 다만 부과 개시 속도에서 차이가 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재무장관 지명에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입김이 크게 작용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캔터피츠제럴드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0월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매디슨스퀘어가든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선 후보 유세에서 지지 연설을 하고 있다.AP뉴시스
베센트가 우세한 가운데 러트닉은 트럼프 당선에 기여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지지를 받으면서 급부상하고 있다.
머스크는 지난 16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X에 올린 글에서 “베센트는 그저 일상적인 선택이겠지만 하워드 러트닉은 실제로 변화를 만들어낼 것”이라며 베센트의 재무부가 이전과 비슷한 관례에 따라 움직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러트닉은 혁신을 몰고 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러트닉은 지난달 뉴욕 매디슨스퀘어가든 유세에서 머스크를 정보효율부 수장으로 추천해줬다. 따라서 머스크는 그에게 빚을 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다른 제3의 부호가 지명될 가능성도 있다.
관세 부과를 지향하는 경제연구소인 미국발전연합이 트럼프 1기에서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지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가 트럼프 당선의 무역 정책을 가장 잘 이행할 인물이라며 공개적으로 지지하기 시작했다.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계획에 미국 기업들은 비상에 걸렸다.
특히 중국에서 제품을 생산해 수입하는 업체들은 탈중국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빨리 진행하기가 쉽지 않아 고민이라고 1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중국의 노동비가 상승하면서 외국 기업들은 트럼프 1기때부터 공급망 다양화를 시도해왔다.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트럼프 1기의 관세를 대부분 유지하면서 필기구 업체 샤피와 양초 양키캔들 제조업체 뉴얼브랜드는 중국 공장을 미국으로 이전 중에 있다.
완구업체 해즈브로는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40%인 중국산을 4년내 20%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헤즈브로 뿐만 아니라 마텔 같은 완구업체들은 공장을 중국에서 베트남이나 인도로 옮겨왔으나 “새로 근로자들을 교육시켜야 하고 중국에서 만큼 생산량이 많지 않은 것이 단점”이라고 UBS 애널리스트 아르피네 코라치란이 말했다.
지난 9월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24 TTPM 할리데이 쇼케이스 이벤트에 완구업체 해즈브로의 제품인 모노폴리 고 게임이 전시돼있다.AP뉴시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