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한국 금융 시스템의 최대 위험 요인으로 가계부채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이 선정됐다.
한국은행은 국내외 전문가 78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9일~이달 8일 설문을 실시해 이 같은 '2024년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21일 공개했다.
이번 설문에서 전문가들은 우리 금융 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 부담(61.5%) △내수 회복 지연 등으로 인한 국내 경기 부진(51.3%)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39.7%) 등을 가장 먼저 꼽았다.
대외 위험 요인으로는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56.4%)와 미국의 공급망 재편 전략 등 주요국 자국 우선주의 산업정책 강화(39.7%) 등을 비중 있게 지목했다.
미 대선 이후 정책 변화, 국내 경기 부진, 자영업자 부실 확대는 단기(1년 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가계부채, 인구구조 변화, 자국 우선주의 정책 등 관련 리스크는 중기(1~3년)에 현실화 위험이 크다고 봤다.
지난해 하반기 실시된 서베이 결과와 같이 가계부채 리스크(61.5%)가 이번에도 최대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가계부채를 뺀 5개 요인이 신규 리스크로 조사돼 상황 인식이 지난 서베이에 비해 크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시스템 안정을 낮출 수 있는 단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 서베이보다 하락했다. 구체적으론 '매우 높음' 또는 '높음' 응답 비중이 소폭 하락(20.8%→15.4%)했고 '낮음' 또는 '매우 낮음' 응답 비중은 급등했다.
1~3년 내 중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지난해 하반기 대비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