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이날 5년 만에 학생총회 개최
재학생 의사 결집해 윤 대통령 퇴진 요구
법전원 재학생들 "선배 윤석열 부끄럽다"
서울 대학가 곳곳에서 시국선언 잇따라
5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 윤석열 대통령을 비판하는 대자보가 붙어 있다. 사진=장유하 기자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 이후 대학가에서 단체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윤 대통령 모교인 서울대학교에서도 강한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5년 만에 전체학생총회를 열고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했다. 교수·연구자, 법학전문대학원 재학생들 역시 퇴진 요구에 동참했다.
서울대 총학생회는 5일 오후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윤 대통령의 비민주적 계엄령 선포를 규탄하는 전체학생총회를 연다. 학생총회는 학부생 전체를 회원으로 하는 총학생회의 최고 의결기구로, 재학생 10분의 1 이상이 참석해야 성립된다. 서울대가 학생총회를 여는 건 지난 2019년 A 교수의 권력형 성폭력 문제 이후 5년 만이다.
이날 안건은 윤 대통령의 퇴진 요구다. 총학생회는 이번 총회를 통해 학내 구성원의 의사를 결집하고 성명서를 작성, 대통령 퇴진 요구를 공식화한다는 계획이다.
김민규 서울대학교 전체학생총회 의장은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를 강력히 규탄하고 헌법적 가치를 수호해야 할 대통령의 책임을 명확히 묻겠다"며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행위에 단호히 반대하고, 윤석열의 퇴진 운동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대 총학생회는 계엄 선포 이튿날인 4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적 헌정질서를 짓밟는 행위임이 분명하다"며 "더욱 참담한 것은 비민주적 비상계엄이 학문적 전당마저 위협하고 짓밟으려 했다는 점이다. 포고령으로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제한하고, 자유로운 비판과 토론으로 활기에 가득 찼어야 할 우리의 전당을 존중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서울대 재학생뿐 교수·연구자, 법학전문대학원생들도 윤 대통령에 대한 규탄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윤 대통령은 서울대 법과대학 법학과 79학번이다.
이날 서울대 교수·연구자들은 지난달 28일 '민주주의를 거부하는 대통령을 거부한다'는 1차 시국선언을 발표한 지 일주일 만에 '헌정질서를 파괴한 윤석열을 즉각 심판하라'는 2차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군통수권을 악용해 어떤 일을 저지를지 예측하기 어려운 대통령이 초래할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일주일 만에 다시 시국선언을 발표하게 됐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서울대 교수·연구자 일동은 "윤석열 대통령은 즉각 사퇴하고, 위헌적이고 불법적인 비상계엄을 선포한 죄, 군대를 동원해 국회를 침탈하고 국헌을 문란하게 한 죄를 물어 당장 윤석열을 체포하라"며 "서울대 교수와 연구자들은 윤 정권을 하루빨리 종식시키고, 우리 사회를 정상화하기 위해 국민 모두와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대 법전원 재학생들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윤석열에게 대통령의 자리에서 퇴진하고 국민 앞에 사죄할 것을 요구한다. 더 이상 대통령의 자격이 없다"며 "우리와 같은 강의실에서 같은 헌법을 배운 선배 윤석열이 벌인 참극에 후배로서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통감한다"고 했다.
서울대를 비롯한 대학가에서도 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퍼지고 있다.
전날 연세대·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한양대·이화여대·경희대·서울시립대·동국대 등이 시국선언문을 발표한 데 이어 이날 중앙대·한국외대·건국대·홍익대·숙명여대·서울여대 등이 시국선언에 동참했다.
대학별 시국선언에 이어 학생들이 거리에 나오는 '시국대회'도 예고됐다. 고려대, 이화여대, 경희대 등 20여개 대학의 학생들은 오는 7일 서울 종로구 열린송현광장에서 '윤석열 퇴진 대학생 시국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