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처단 대상된 의료계' 의료개혁특위, 의사단체 참여 '모두 중단'

'이탈 의료인 처단' 포고령 분노 여파

[파이낸셜뉴스]
'처단 대상된 의료계' 의료개혁특위, 의사단체 참여 '모두 중단'
8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열린 서울대병원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젊은 의사 의료계엄 규탄 집회'에서 사직 전공의를 비롯한 젊은 의사들이 계엄 규탄 및 의료개혁 철폐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상계엄 여파가 의료계로 확산되고 있다. 계엄사령부 포고령의 '이탈 의료인 처단' 명령이 의료계 공분을 산 게 직접적인 원인이다. 때문에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에 참여했던 의사 관련 단체 3곳 모두 참여 중단을 선언했다.

8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의사 관련 단체인 대한병원협회(병협)와 대한중소병원협회(중소병협), 국립대학병원협회는 의개특위 참여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3개 단체가 특위 탈퇴를 결정한 것은 지난 3일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포고령에 '전공의 등 이탈 의료인 처단' 내용이 담기면서 의료계의 공분을 샀기 때문이다. 포고령 제1호에는 '전공의를 비롯하여 파업 중이거나 의료현장을 이탈한 모든 의료인은 48시간 내 본업에 복귀하여 충실히 근무하고 위반 시는 계엄법에 의해 처단한다'는 조항이 포함됐다.

병협은 지난 5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계엄사령부 포고령이 사실을 왜곡했을 뿐 아니라 전공의를 마치 반국가 세력으로 몰아 '처단'하겠다는 표현을 쓴 것에 대해 강력히 항의한다”며 “의료인과 의료기관이 존중받고 합리적인 논의가 가능해질 때까지 의개특위 참여를 중단한다”고 강조했다.

병협에 이어 중소병협과 국립대학병원협회도 특위 참여를 일단 중단하고 추후 상황을 지켜보기로 했다. 국립대학병원협회는 이미 의개특위에 불참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급자 단체인 대한약사회와 대한간호협회는 특위 참여를 중단하지는 않겠지만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의료계와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면서 의료개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지난 6일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최근 병협이 의개특위 참여 중단 입장을 밝힌 것에 대매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의료계와 대화와 협의를 통해 의료개혁을 착실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의료계의 의개특위 중단 등으로 의료개혁 실행방안이 발표될지 여부가 관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복지부는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에 포함될 비급여와 실손보험 개혁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달 내 공청회를 열기로 했지만, 아직 일정을 발표하지 않았다.

stand@fnnews.com 서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