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과 2005년 강원도 춘천서 발굴한 유해 신원 확인
[파이낸셜뉴스]
[서울=뉴시스] 고(故) 안희문 하사 귀환행사 사진. (사진=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 제공) 2024.12.13. *재판매 및 DB 금지 /사진=뉴시스
6·25전쟁 당시 가족들을 남겨두고 참전 중 전사한 호국영웅 두 명의 신원이 70여 년 만에 확인됐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강원도 춘천에서 발굴한 유해의 신원을 고(故) 안병오 일병과 안희문 하사로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두 전사자의 유해를 유족에게 전달하는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는 이날 열렸다.
안 일병은 1922년 3월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나 결혼 후 슬하에 1남 2녀를 뒀다. 29살 늦은 나이에도 조국을 지키기 위해 아내와 세 자녀를 두고 1951년 1월 31일 입대했다.
안 일병은 부산 제2훈련소에서 교육받고 국군 제5사단에 배치돼 중공군으로부터 소양강을 방어하는 '어론리 전투'에 참전했다가 1951년 5월 18일 전사했다.
안 일병의 딸 안난순 씨는 "젊은 나이에 혼자 3남매 키우느라 고생만 하신 엄마가 살아계셨으면 더 좋았을 텐데, 아버지 유해를 찾았으니 현충원에 엄마 유해와 합장해드리고 싶다"고 소회를 밝혔다.
고인의 유해는 2005년 4월 강원 춘천시 만천리 일대에서 발굴됐다. 고인 입대 당시 1살이던 막내딸 안난순 씨가 2009년 유전자 시료 채취에 참여했으나 당시 기술로는 가족 관계가 파악되지 않았고, 올해 재분석으로 부녀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희문 하사는 1926년 2월 경북 문경에서 태어났고, 전쟁이 발발하자 아내와 뱃속의 아들을 남겨둔 채 자진 입대했다.
안 하사는 대구 제1훈련소에서 훈련받고 국군 제8사단에 배치됐다. 그는 춘천 내평리 지역에서 방어선을 구축하면서 적을 저지하다가 1950년 12월 26일 전사했다.
그의 유해는 2011년 5월 내평리 일대에서 발굴됐다. 국유단은 안 하사의 병적 자료 등을 토대로 유족들을 찾아 가족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 하사의 조카 안도현 씨는 "전쟁터에서 돌아가신 삼촌을 생각하면 늘 마음이 좋지 않았다. 국립묘지에 꼭 안장해드리고 싶다"고 소회를 전했다.
6·25전쟁 전사자 신원 확인을 위한 유전자 시료 채취에는 전사자 친·외가 포함 8촌까지 참여할 수 있다.
제공한 유전자 정보로 전사자 신원이 확인될 경우 포상금 1000만원이 지급된다.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단장이 13일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고 안희문 하사 유가족 자택에서 열린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에서 유가족께 고인의 참전 과정과 유해발굴 경과를 설명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2024.12.13/뉴스1 /사진=뉴스1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