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당시 수사관 80여명 대기
'제 식구 감싸기' 수사 우려 나와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수본에서 취재진이 대기하는 모습.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검찰이 계엄 당시 체포조를 만들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경찰 수뇌부에 대해 강제수사에 나서는 등 수사를 본격화 하고있다. 경찰이 계엄 당시 서울청 광역수사단 소속 수사관 80여명의 비상대기자 명단을 작성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국가수사본부의 비상계엄 수사 공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지난 19일 오후 경찰청 국수본과 영등포경찰서, 국방부 조사본부에 대한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압수물을 분석 중이다.
검찰은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국수본이 국군방첩사령부의 요청에 따라 주요 정치 인사들을 체포하기 위한 '체포조'에 강력계 형사들을 지원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찰은 당시 방첩사 측에서 국수본 실무자에게 '여의도 현장 상황이 곤란하다'며 지원에 나설 경찰관 명단을 요청했고, 영등포서 강력팀 형사 10명의 명단을 제공했다고 해명했다. 특수본은 계엄 당일 방첩사가 국수본 관계자와 연락을 했다는 것을 파악하고 강상문 영등포서장과 윤승영 수사기획조정관 등 간부, 영등포서 형사들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바 있다.
계엄 당시 서울경찰청이 국수본으로부터 요청을 받아 비상대기 수사관 100여명의 명단을 작성했던 것으로 나타나면서 경찰의 체포조 동원 의혹이 짙어지고 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김성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일 수사관 104명으로 이뤄진 '광수단 경감 이하 비상대기자' 명단이 작성됐으며, 이 중 서울청 광역수사단 소속 수사관 81명이 사무실에서 대기했다. 명단에는 반부패 24명, 공공 20명, 금융 20명, 마약 20명, 형기 20명 등 총 104명의 목록이 정리돼 있다.
이와 관련해 조지호 경찰청장은 계엄 선포 직후 방첩사령관이 전화를 걸어와 수사관 100명 지원 등을 요청했지만 묵살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비상계엄 사태의 수사 주체가 계엄에 가담했다는 의혹이 계속해서 불거지면서 법조계 일각에서는 경찰이 수사 공정성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고 봤다. 수사 결과에 따라 '제 식구 감싸기식 수사'를 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에 놓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서초동 한 변호사는 "국수본 산하 특별수사단이 사상 초유로 현직 경창청장을 구속 수사하는 등 공을 들이고 있지만 계엄을 가담했다는 의혹이 나오는 만큼 공정성 논란이 도마에 오르기 쉬운 환경"이라며 "투명하고 철저한 수사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koreanbae@fnnews.com 배한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