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교사 13명 가운데 칭화대와 베이징대 졸업생 10명
중국 베이징의 한 고등학교 학생들이 단체로 길거리를 이동을 하고 있다. 신화 뉴시스
[파이낸셜뉴스]중국 양대 명문인 칭화대와 베이징대 석·박사 졸업생들도 취업난 속에서 교사직에 대거 지원하고 있었다.
장쑤성 쑤저우 중학교가 석·박사 이수자 출신의 교사를 모집해 뽑아보니 '중국 초일류 명문대'인 칭화대와 베이징대 출신들이 대부분이었다.
2일 중국 지무신문 등에 따르면, 총 13명의 채용 신임 교사 가운데 칭화대 졸업생이 6명, 베이징대 졸업생이 4명이었다. 박사 출신 신규 임용자는 8명이었고, 학사 또는 사범대 졸업생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이 가운데 칭화대 졸업생 6명 가운데 4명의 최종 학력은 박사였고, 이들은 물리, 화학, 생물 등을 가르치게 된다. 쑤저우 중학교는 당초 박사과정 이수자를 채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다만 석사 졸업생의 경우 최소 3개의 국가 장학금을 받았거나, 고등학교 재학 시절 전국 올림피아드에서 3위 이내 입상하면 지원을 가능하도록 했다.
쑤저우 중학교에 초일류 명문대의 고학력자들이 대거 몰린 것은 대표적인 연구개발 도시인 쑤저우의 경우 재정이 상대적으로 튼튼해 처우가 좋기 때문이다. 지방 교육당국은 외지에서 오는 신규 임용자에 대해서는 부동산 및 정착 보조금 등을 지급하는 인센티브를 적극적으로 제공해 인재를 끌어오고 있다.
신화통신 등 관영 언론들은 고학력 인재들이 중등학교 교사에 임용되는 것은 당국이 기초 교육을 중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경제 침체 속에서 취업 난이 심해지면서, 일류 명문대를 나와도 마땅한 일자리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경기 위축 속에서 학력 인플레이션이 더 심화했다는 지적들도 나오고 있다.
june@fnnews.com 이석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