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오세훈표 규제철폐 1호' 서울 주상복합 상가 비율 확 낮춘다

상업지역내 20%→10%로 완화
환경영향평가 면제도 대폭 확대

서울시가 상업·준주거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주거 외 용도비율을 완화하고 사업 기간 단축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제도개선에 나선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달 비상경제회의에서 규제철폐를 핵심 안건으로 각종 개선 방안을 논의한 지 20여일 만에 1·2호 규제철폐안을 내놨다.

서울시는 5일 경제를 활성화하고 민생을 살리기 위한 '규제철폐안' 1·2호를 동시에 발표했다. 시는 그동안 불합리하게 적용된 규제들을 심도 있게 논의한 결과 즉시 개선이 가능한 2개 과제를 발굴해 우선 추진한다고 밝혔다.

규제철폐 1호 과제는 '상업·준주거지역 내 비주거시설 비율 폐지 및 완화'다. 현재 서울 도심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비주거시설(공동주택과 준주택을 제외한 시설) 비율은 도시계획조례상 연면적 20% 이상이며, 준주거지역은 지구단위계획 수립 지침에 따라 용적률의 10% 이상으로 규제됐다.

하지만 최근 대형복합쇼핑몰 이용이 많아지고 온라인쇼핑으로 소비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상가 공실이 늘었다. 이에 서울시는 올 상반기 중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해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 비주거시설 비율을 연면적 20%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일반·근린 상업지역에 임대주택이나 공공기숙사를 도입할 땐 주상복합이 아닌 주택 100% 단일 공동주택도 허용한다. 조례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준주거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 비주거시설에 대한 용적률 10% 규제는 이달 중 시 지구단위계획수립 기준을 개정해 즉시 폐지한다.

규제철폐 2호 과제는 '환경영향평가 본안평가 면제 대상 확대 및 절차 완화'다. 환경영향평가는 소음 진동, 분진 피해 등으로부터 시민 불편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지만 건설업체 입장에서는 사업추진 지연 등 차질을 빚기도 했다. 이에 그간 사문화됐던 '협의절차 면제제도'를 대폭 부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심의 기준을 준수한 사업은 본안 심의를 생략해 환경영향평가 협의 기간이 기존 48일(초안 20일+본안 28일)에서 20일(초안)로 줄어든다. 협의절차 면제제도는 환경영향평가 초안을 낼 때 시의 심의 기준을 준수한 사업은 본안 심의를 생략해 주는 것이다. 상반기 조례를 개정해 면제 적용 대상을 연면적 합계 20만㎡ 이하 건축물이나 정비사업 면적 18만㎡ 이하에서 모든 대상으로 확대한다. 이 경우 면제 가능 사업이 2배가량 늘어난다.

또 심의 기준도 전면 개정해 그동안 타 심의와 중복됐던 평가 항목은 일원화하고 사업자 불편도 최소화한다.
경관심의, 굴토심의 등과 유사했던 평가 항목을 단일 위원회에서 심의하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시는 앞으로도 TF 회의를 계속 열어 규제 개선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오세훈 시장은 "규제철폐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올해 서울시정의 핵심 화두로 앞으로 100일 동안 시민과 서울시 구성원이 함께 불필요한 규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아이디어를 모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