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특별 메시지 통해 2025년 구상 밝혀
‘울산의 스탠포드'로서 국가와 지역 사회 발전 주도
‘파이어니어 UNIST’ 실현 본격화.. 변화와 도약 전환점
박종래 유니스트 총장이 7일 대학 구성원들에게 전하는 특별 메시지를 통해 올해 구상을 밝혔다. 박 총장은 메시지에서 "2025년 유니스트는 ‘울산의 스탠포드’로서 국가와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대학으로 도약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유니스트 제공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2025년 유니스트(UNIST)는 ‘울산의 스탠포드’로서 국가와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대학으로 도약할 것이다.”
박종래 유니스트 총장이 7일 구성원들에게 특별 메시지를 전하며 올해 운영 구상을 밝혔다.
박 총장은 메시지에서 “대전환의 시대에 유니스트는 교육, 연구, 국제화 전반에서 새로운 길을 여는 ‘파이어니어(Pioneers)’가 되어야 한다”라며 “경제 침체와 인구절벽이라는 도전 속에서도 유니스트만의 대체 불가한 독창성(Uniqueness)을 확보하는 것이 생존을 넘어 우위를 점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박 총장은 ‘파이어니어 UNIST’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세 가지 전환적 혁신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교육 부문에서는 “학생들이 창의적 통찰력과 융합적 연결력을 갖춰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하도록 인공지능(AI) 활용 능력과 영어 토론 등 필수 역량을 끌어올리겠다”라고 밝혔다.
연구 부문에서는 기초와 응용 연구를 균형 있게 진전시키고, 지역 산업과 UNIST의 첨단 기술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박 총장은 “디지털 전환은 물론, 스타트업 육성과 기술이전을 가속화해 연구 성과가 산업 현장에 즉시 적용되도록 하겠다”라고 설명했다.
국제화 부문에 대해서는 국내외 유수 대학과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확장해 세계 명문 대학으로 나아갈 기틀을 마련하고, 첨단 기술 분야에서 국제 공동연구를 선도하고 UNIST 연구 성과로 인류가 직면한 난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박 총장이 밝힌 유니스트만의 연구 지향점은 ‘마당은 좁게, 담장은 높게(Small Yard High Fence)’로 요약된다.
이는 핵심 분야에 선택과 집중을 통해 강점은 더욱 키우고, 외부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회복탄력성을 증진하겠다는 전략이다. 지역적 뿌리를 기반으로 국가와 세계를 연결하며, 유니스트만의 경쟁력과 수월성으로 기술 패권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박 총장은 끝으로 "유니스트가 학문과 산업, 지역과 세계가 상호작용하며 함께 성장하는 ‘공진화(Co-Evolution) 대학’으로 자리매김하겠다”라며 “2025년은 과학기술원 전환 10주년이 되는 해로, 유니스트의 변화와 도약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이라고 전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