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위, 여객기 참사 현안질의
"재발방지·피해지원" 한목소리
여야는 지난해 발생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대참사와 관련, 재발방지책 마련에 한 목소리를 냈다. 저가항공(LCC) 업계의 정비 인력 현황, 조류 퇴치 방식, 항공 환경 등에 대한 개선도 강력 요구했다. 또 추후 유가족 및 피해자 사후 관리를 강조한 여야는 향후 항공참사특별위원회 운영 및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전방위적으로 지원키로 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14일 전체회의를 열고 12·29참사 관련 현안질의를 진행했다. 이날 현안질의에선 LCC 정비 인력, 조류 퇴치 방법론 등이 도마에 올랐다.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은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를 향해 "국토부 고시에 따르면 사무직은 정비인력에서 제외돼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토부와 점검해보니 제주항공 정비인력은 307명"이라며 "(제주항공은) 대당 정비사를 12.7명이라고 발표했지만 실제 정비사는 7.5명인 것. 이런 미봉이 제주항공 대표의 참회 방식인가"라고 질타했다.
이어 "제주항공의 하루 평균 대당 가동 시간은 14시간으로, LCC 중에서도 가장 혹독한 수준"이라며 "정비할 시간은 없고 정비사는 부족하고 그러는 사이에 승객들의 안전이 최우선이 아니라 수익 극대화의 효용이 참사를 부른 원인"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박용갑 의원은 "미국이나 일본은 2012년도에 조류탐지레이더를 이용해 조류를 퇴치하고 있다"며 "항공선진국을 자부하는 대한민국은 총포, LP가스 폭음기처럼 재래식으로 쫓고 있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탐지레이더 설치 의무화 등이 골자인 항공시설법 개정을 예고했다.
여야 의원들은 유가족 및 사고 피해자들에 대한 전폭적인 행·재정적 지원도 약속했다.
민주당 복기왕 의원은 "사고 전 4분에 대한 관제탑 교시만이라고 기록 공개가 가능한가"라고 물은 뒤 "전 국민 공개가 어렵다면 최소한 유족들만에게라도 공개될 수 있도록 조속한 조치가 있길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국민의힘 김정재 의원도 "사상자와 유가족을 위해선 정부 차원의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특별법을 제정해서라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