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복권 당첨돼도 다니겠다"는 회사, 상사들이 달랐다.. 어떻게?

"복권 당첨돼도 다니겠다"는 회사, 상사들이 달랐다.. 어떻게?
사진은 기사 본문과 무관함./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파이낸셜뉴스] 덴마크에서 주당 50시간 넘게 일하는 인구가 전체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 50시간 이상 일하는 인구, 단 1%뿐인 덴마크

15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서 덴마크인 중 주당 50시간 이상 일하는 비율은 전체 인구의 단 1.1%로 집계됐다. 이는 전 세계 평균인 10.2%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로 미국(10.4%)과 영국(10.8%)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다.

이러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보장된 덴마크의 직장인들은 근무 시간에 느끼는 만족도도 높은 편이라고 평가했다.

덴마크의 싱크탱크 '행복 연구소' 소장 메이크 비킹은 BBC를 통해 "덴마크인들은 실제로 직장에서 행복해한다"면서 "덴마크인의 거의 60%가 복권에 당첨되거나 재정적으로 독립하더라도 계속 일을 할 것이라고 한다"고 전했다.

"당신 일만 완수하면, 일하는 시간은 상관없다"는 직장문화

그는 직장인들의 근무 만족도의 배경으로 상사가 직원들을 신뢰하는 민주적인 직장 문화와 두터운 사회 복지 시스템을 꼽았다.

비킹 소장은 코펜하겐에 있는 놀이공원 티볼리 공원 직원들 사이에 통용되는 '3m 규칙'을 그 예로 들었다. 직원들의 책임감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3m 규칙'은 모든 직원이 근방 3m 안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에 최고경영자(CEO)가 된다는 것이다.

코펜하겐의 테크 기업에서 일하는 가브리엘 호세스도 "아무도 세세하게 관리하거나 어깨너머로 감시하려고 하지 않는다. 상사들은 당신이 프로젝트를 완수했는지에만 관심을 가지며, 하루에 8시간을 일했는지 9시간을 일했는지는 확인하러 오지 않는다"고 말하며 덴마크 직장 문화의 신뢰를 강조했다.


또 덴마크는 부모가 된 근로자들에게 6개월간 유급 출산·육아 휴가를 제공하며, 구조조정 등으로 직장을 잃은 경우엔 정부 보조금을 받는다.

이러한 덴마크의 두터운 사회 복지 시스템은 높은 근로 만족도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의 인사 전문가 사만다 색스비는 "최근 세계적으로 더 많은 기업이 이러한 복지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며 "미국 등 다른 국가들도 결국에는 덴마크와 같은 '행복한' 북유럽 국가들의 선례를 따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