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

‘2028년 수능 대폭개편’ 탐구영역 중요도↑

시험시간 20분 늘고 배점 세분화
'통합탐구’ 수험생에 부담 클 듯

올해 입학하는 고등학교 1학년은 2028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에서 모두 통합사회·과학 과목을 치르게 된다. 과목당 25문항으로 총 시험 시간은 40분으로 늘었다. 기존 2점과 3점이었던 20문항에서 배점이 1.5·2·2.5점으로 세분화됐다. 문·이과 구분 없이 통합 과목을 함께 응시함에 따라 탐구영역의 중요도가 커질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일 2028학년도 수능 시험 및 점수 체제를 발표했다. 기존 국어·수학·영어·한국사 영역의 문항 수와 시험시간은 변화 없이 유지했다. 국어 45문항 80분, 수학 30문항(단답형 9문항 포함) 100분으로 기존 수능과 같다. 영어 영역도 45문항(듣기평가 17문항 포함) 70분, 한국사는 20문항 30분으로 현행과 같다. 다만 국어와 수학의 선택과목은 없앤다.

가장 큰 변화는 탐구영역이다. 기존 수능에서는 사회 9과목, 과학 8과목 중 최대 2과목을 선택해 수험생별로 다른 문제를 풀었다. 2028년 수능부터는 통합사회·통합과학으로 모든 수험생이 같이 2과목을 치른다.

문항 수와 시험시간은 기존 20문항 30분에서 25문항 40분으로 늘었다. 난이도에 따른 배점도 1.5점, 2점, 2.5점으로 25년 만에 소수점 배점을 적용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다양한 내용을 균형 있게 출제하려면 더 많은 문항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시험 시행과 활용의 안정성을 고려해 다양한 소재와 난이도의 문항을 균형 있게 출제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사교육계에서는 오히려 탐구영역 통합이 학생 부담을 늘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임성호씨(종로학원 대표)는 "수학에서 미적분Ⅱ와 기하 등 심화수학이 배제돼 변별력이 현재보다 약해질 것"이라며 "반면 탐구과목은 문항 수 확대, 배점체제 세분화, 탐구 2과목 필수 응시 등으로 변별력이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