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엔화를 정리하고 있다. 뉴스1
【도쿄=김경민 특파원】 일본은행(BOJ)은 24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정책금리인 단기 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할 전망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올해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이 예상되는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에 따른 시장 변동이 제한적이었다는 것이 배경으로 분석된다.
일본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BOJ에 결정을 연기하도록 요청할 권리가 있으나 이를 행사하지 않고 사실상 수용할 전망이다.
이번 금리인상은 지난해 7월 회의 이후 6개월 만이다. BOJ의 금리인상은 앞서 3월 마이너스(-) 금리 해제 이후 세 번째다. 정책금리가 0.5%가 되는 것은 2007년 2월부터 2008년 10월 이후 약 17년 만이다. 1995년 9월 이후 정책금리가 0.5%를 초과한 적은 없었으며 이는 지난 30년간 가장 높은 금리 수준이다.
BOJ는 각 지점의 보고와 경제 단체의 조사 등을 바탕으로 2025년 춘계에서 폭넓은 업종에서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약 2% 수준의 물가 상승률이 앞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금리인상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지난 20일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취임 직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나 발표된 정책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금리인상을 보류할 가능성도 있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국내외 주식 및 환율 변동은 제한적이었고, 금리 인상을 결정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는 평가다.
회의 이후에는 3개월 단위로 작성되는 '경제·물가 상황 전망'(전망 보고서)도 공개된다. 2025~2026년도에 걸쳐 약 2%의 물가 상승률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이 대체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토탄리서치에 따르면 시장이 금리인상을 예상하는 확률은 전날까지 90%를 넘었다. 14~16일 히미노 료조 BOJ 부총재와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가 잇달아 "(1월 회의에서) 금리인상을 할지 여부를 정책위원들 사이에서 논의해 결정하고 싶다"고 발언하면서 회의 직전에 금리인상 가능성을 언급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전개됐다.
BOJ가 공식적으로 금리인상을 결정하면 일본 경제는 '금리가 있는 세계'로 한 발 더 나아가게 된다.
이는 기업과 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가계의 경우 예금 금리 상승으로 예금자는 혜택을 누리지만, 주택 대출 이용자는 금리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미즈호 리서치&테크놀로지스에 따르면 금리가 0.5%로 인상되면 일본 가계 전체에 연간 약 6000억엔(약 5조5248억원) 정도의 긍정적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