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 등록금이 인상 기조로 급물살을 타는 가운데 내년에도 다시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인상을 검토하거나 예정 중인 학교가 58곳에 달했다. 학령인구 감소와 불경기가 겹치며 대학들은 고등교육 재원 확충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와 함께 인상폭 제한 등 규제를 없애고 대학에 등록금 자율권을 줘야 한다고 밝혔다.
26일 교육계에 따르면 지난 22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총회에서 실시한 대학 총장 설문조사 결과, 2025학년도 등록금심의위원회에서 인상을 제안하거나 예정한 총장이 5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는 총회 참석자 131명 중 84명(64.1%)이 응답했다.
2009년부터 이어진 대학 등록금 동결 기조는 올해 들어 전환 분위기를 맞고 있다. 전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조사에 따르면 이미 27곳이 인상을 결정했고 13곳도 등심위에서 인상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123곳의 대학이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더 많은 대학이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대교협 총회에 참석한 총장들도 올해 등록금에 대해 인상 쪽으로 무게를 뒀다. 동결은 26명(31%)에 그친 반면 이미 인상을 제안했거나 예정한 곳은 57명(68.9%)에 달했다. 특히 인상 응답 중 등록금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사립대학이 52명(85.2%)을 차지했다.
운영 정상화를 위해 내년에도 등록금을 올려야 한다는 총장이 '인상할 것' 16명(19%), '인상에 무게를 두고 검토' 42명(50%)으로 과반을 차지했다.
가장 높은 응답을 받은 해결책은 정부의 고등교육 재정지원 확대(39명·46.4%)였다. 올해 교육부 고등교육 부문 예산은 15조6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조1000억원 늘었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전국 도입에 따라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고특회계)도 8700억원가량 늘어난 16조4000억원을 책정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