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이후 여성들에 쉽게 발현
일상생활에 지장 "적극 치료를"
수술 또는 케겔운동하면 호전
김규관 온종합병원 요실금클리닉 소장(왼쪽)이 환자를 외래진료하고 있다. 온종합병원 제공
칠순 K할머니는 요즘 외출하기가 두렵다. 일전에 겪은 수치스러운 일 때문이다. 친구모임에 참석하려고 지하철을 타고가다 갑자기 터져 나온 재채기에 그만 소변을 지린 것이다. 열차가 역에 도착하자마자 쫓기듯 객차를 빠져나와 서둘러 귀가했으나 그날의 일이 잊히지 않아 밖에 나가기가 겁나다며 고심 끝에 산부인과를 찾았더니 요실금이라고 했다.
부산 온종합병원 요실금클리닉 김규관 소장(산부인과전문의)은 "요실금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유출되는 현상을 말한다"고 정의했다.
요실금은 나이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중년 이후의 여성이나 신경학적 질환을 가진 노인에서 흔하다고 김 소장은 덧붙였다. 출산의 상흔과도 같은 요실금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므로,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어머니의 훈장'으로 인식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요실금도 원인이나 증상에 따라 다양하다. 복압성 요실금은 기침, 재채기, 줄넘기 등 갑작스럽게 복압이 증가할 때 방광의 수축 없이 소변이 누출된다. 분만 후나 노화로 골반 근육이 약화되어 방광과 요도를 충분히 지지해주지 못하거나, 요도 자체의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발생한다.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강하고 참기 어려워 화장실에 도착하기 전에 소변이 누출되는 절박성 요실금은 급성방광염, 신경질환, 당뇨병, 전립선비대증 등이 원인질환일 수 있다. 복압성과 절박성이 혼합된 혼합성 요실금, 방광의 저장 용량이 넘쳐서 소변이 흘러넘치는 범람성 요실금, 뇌경색, 척수손상, 다발성 경화증 등 중추신경계 질환이나 말초신경계 질환, 자궁암, 직장암 수술 후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일과성 요실금, 신경계통이나 요도괄약근에는 이상이 없지만,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장애 등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인성 요실금 등이 있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30세 이상 여성의 41.2%가 요실금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요실금 증상을 경험한 여성 중 77.3%는 기침이나 재채기, 줄넘기 등을 할 때 소변이 새는 복압성 요실금 증상을 겪었다.
요실금의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으로 나뉜다. 비수술적 치료로 케겔운동은 괄약근을 튼튼하게 만드는 운동으로, 요도와 질, 항문을 감싸고 지탱하는 골반 바닥 근육을 강화한다. 꾸준히 시행하면 요실금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나, 치료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게 단점이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