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서머스 전 재무, 트럼프 보편 관세 부과 강행에 "미국 경제에 '자해 행위'라고 비판

"향후 9개월 간 인플레이션 1% 상승" 전망

서머스 전 재무, 트럼프 보편 관세 부과 강행에 "미국 경제에 '자해 행위'라고 비판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2일 (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등에 보편 관세 부과를 시작하는 방안을 확정한 것에 대해 "미국 경제에 대해 자해 행위"라고 비판했다. 사진은 서머스 전 재무장관이 지난 2017년 1월 18일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발언하는 모습. AP 뉴시스

[파이낸셜뉴스]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2일(이하 현지 시간)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 결정에 대해 미국 경제에 대한 '자해 행위'라고 비판했다.

하버드대 교수로 재직 중인 서머스 전 장관은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등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향후 9개월 간 인플레이션이 1%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전망하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운동장이나 국제 관계에서 약자를 괴롭히는 것은 승리하는 전략이 될 수 없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가까운 동맹국들을 중국의 지도자 시진핑 (국가주석) 품으로 밀어내고 있다"며 "우리가 설정한 모든 국제 규범을 위반하면 시진핑의 행위가 정당화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시 주석이 승자가 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앞서 서머스 전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지난 1일 "오늘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취한 조치는 납득하기 어렵고 위험하다"며 "이는 자동차, 휘발유 및 미국인들이 구매하는 모든 종류의 상품 가격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관세 부과에 우리 동맹국들도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그들은 우리의 경제적 고통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밝혔다.

또, "멕시코 경제가 불안정해지면서 이주민들이 남부 국경으로 몰릴 수도 있다"라고 했다.

그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재무장관을 지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자택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산 모든 수입품에 각각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관세는 오는 4일 오전 0시1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다만 캐나다산 에너지 자원에 대해선 25%가 아니라 10%의 추가 관세만 적용한다고 명시했다.

june@fnnews.com 이석우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