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경찰, 경호차장·경호본부장 휴대폰 확보…"보완수사 요구 유감"

압수수색 영장 발부받은 뒤 구속영장 신청
보완수사에 압색 먼저 진행 내용 포함

경찰, 경호차장·경호본부장 휴대폰 확보…"보완수사 요구 유감"
(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 등의 구속영장 신청을 받은 검찰이 보완수사를 요구한 데 대해 경찰이 유감을 표명했다. 경찰은 이날 김 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 사무실과 자택을 압수수색하고 비화폰(보안폰)을 포함한 이들의 업무용 휴대폰 등을 확보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3일 "범죄 혐의가 어느 정도 소명돼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사람들에 대한 문제도 엮여 있어 구속영장을 신청한 것"이라며 "검찰이 구속영장을 반려한 데 이어 보완수사를 요구해 유감"이라고 말했다.

특수단은 지난달 24일 검찰에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의 구속영장을 서울서부지검에 신청했다. 검찰은 대통령경호법상 경호처 내부 규정을 확인하라며 보완수사를 요구했다.

특수단은 지난달 24일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은 뒤 영장 집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전구속영장을 신청했다는 설명이다. 특수단 관계자는 "보완수사 요구사항에 압수수색하고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판단하자는 내용이 있어서 진행했다"고 말했다.

경찰은 이날 오전부터 이들의 신체와 주거지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하고 업무용 휴대전화와 개인 휴대폰 등을 확보했다. 오전 10시쯤부터는 이들의 경호처 사무실에서 압수수색을 시도 중이다. 사무실 압수수색 대상에는 이들이 사용하던 비화폰 서버 등이 포함돼 있다.

앞서 경찰은 박종준 전 경호처장을 불러 조사하면서 확보한 휴대폰 포렌식을 완료했다.

박 전 처장을 비롯한 경호처 관계자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 등을 받는다.

비상계엄 당일 열린 국무회의 참석자 가운데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경찰이 수사 중이다. 언론사 등에 대한 단전, 단수 지시 등을 내린 혐의에 대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수사하기로 했지만 경찰이 다시 넘겨받았다.

특수단은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53명을 피의자로 입건해 수사 중이다.
당정 관계자 28명, 군 관계자 20명, 경찰 5명 등이다. 문상호 정보사령관이 계엄 선포 전날 김용현 국방부 장관을 만나는 자리에 배석한 원천희 국방정보본부장의 혐의를 인지해 피의자로 추가됐다. 이 중 8명은 검찰에 송치했고 공수처와 군 검찰에 11명을 이첩했다.

unsaid@fnnews.com 강명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