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병원 안가도 내 몸 상황 실시간 체크..대웅제약 '씽크' 본격 사업화

의료진과 환자 모두 '윈윈' 의료환경 조성
대웅 다양한 헬스케어 기기와 연동 확장해
준종합병원 사용 병원 확장, 시스템 고도화

병원 안가도 내 몸 상황 실시간 체크..대웅제약 '씽크' 본격 사업화
조병하 대웅제약 마케팅사업부장이 3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에서 열린 '대웅제약 미디어 간담회'에서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웅제약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웅제약은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로는 최초로 '원격심박기술' 보험 수가를 획득한 '씽크'의 사업화를 본격화한다.

3일 대웅제약은 기자간담회를 갖고 인공지능(AI) 기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시스템 씽크의 사업화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의료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씽크는 씨어스테크놀로지가 개발한 실시간 입원 환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지난해 3월 씨어스테크놀러지는 대웅제약과 국내 공급을 위한 계약을 맺었다.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만성질환자 증가에 의료비 부담이 급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디지털 헬스케어는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핵심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에는 질환이 발생한 후 병원을 방문해 진단과 치료를 받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지만, 현재는 연속적으로 건강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질환을 조기 감지해 신속하게 대응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병원 방문을 위한 예약 및 검사에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셈이다.

대웅제약은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비전을 발표했다. 조병하 대웅제약 마케팅사업부장은 “과거에는 아프면 병원을 찾았지만, 이제는 건강 데이터를 활용해 질환을 사전에 예측하고 관리하는 시대가 됐다”며 “대웅제약은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씽크는 환자의 심정지·패혈증·낙상 위험을 감지하고 즉시 알람을 제공해 의료진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영신 씨어스테크놀로지 대표는 “씽크는 심정지, 패혈증, 낙상 등의 위험을 조기에 감지해 의료진이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의료 현장에서 환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웅제약은 올해 안에 스카이랩스의 반지형 연속혈압측정기 ‘카트비피’와 씽크를 연동해 더 정밀한 실시간 건강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이 도입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들은 ‘가까운’ 병·의원에서도 정밀 검사가 가능하도록 해, 환자 부담을 줄이고 접근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실시간 환자 데이터를 분석하고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으며, 환자들은 대형 병원이 아닌 가까운 의원에서도 편리하게 정밀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우리나라는 이미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며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평소 건강 관리와 예방, 질환 예측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통해, 환자 맞춤형 건강 관리 및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대웅제약은 씽크 사용 병원을 현재 10개 병원에서 준종합병원까지 확장하고, AI 기반 질환 예측 및 예방 시스템 고도화할 예정이다. 또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와 스마트 병상 모니터링 기술 연동 강화할 예정이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