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문체부, LH 등과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업무협약... "K공연예술 거점 조성"

명동·정동·남산에도 공연장 및 창·제작 공간 조성

문체부, LH 등과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업무협약... "K공연예술 거점 조성"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부·한국토지주택공사(LH)·서계문화마당 간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이한준 LH사장, 유인촌 문체부 장관, 김완석 서계문화마당 대표이사(왼쪽부터)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문체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문화체육관광부는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계문화마당과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문체부는 서울역과 도보 5분 거리인 서계동 1번지 일대 국립극단 부지(7904.5㎡)를 문화예술 거점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지난 2014년부터 노력해왔다.

이날 문체부와 LH는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사업의 업무 분담, 토지와 건축물의 사용, 소유 및 운영, 사업비 분담 및 정산 등에 관한 업무협약을, 문체부와 서계문화마당은 서계동 복합문화시설 조성 임대형민자사업(BTL)의 건설 및 운영 등에 관한 업무협약을 각각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문체부는 공연장(4개소)과 연습실(10개소) 등 창작 공간, 공연 전문 도서관과 전시관, 업무 및 판매시설은 물론 예술인들을 위한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복합문화공간을 관련 기관들과 함께 조성한다.

사업시행자인 서계문화마당이 시설을 준공하면 해당 시설의 소유권은 국가 및 지자체에 귀속되고 사업시행자는 20년 동안 시설 임차 및 시설관리운영권을 인정받아 사용·수익한다. 또 LH는 예술인 임대주택을 조성해 30년간 사용·수익 후 국가에 기부채납한다.

문체부는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 외에도 남산 국립극장의 창·제작 시설을 확충해 공연 연습실, 스튜디오, 무대 보관소 등을 오는 2026년까지 조성할 예정이다.

아울러 정동극장은 2029년 완공을 목표로 공연장과 편의시설을 확대하고, 명동예술극장은 더욱 많은 국민들과 관광객이 찾을 수 있는 공연시설로 활성화해 공연예술 산업 전반을 성장시킬 계획이다.

유인촌 장관은 "남산공연예술벨트와 국립정동극장 재건축에 이은 새로운 유형의 서계동 복합문화공간 조성은 공연예술산업 성장을 위한 튼튼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