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금융당국·정책금융기관·은행권도 '딥시크' 차단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금융당국·정책금융기관·은행권도 '딥시크' 차단
(출처=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금융당국과 정책금융기관, 은행권에서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 차단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다. 민감 정보가 많은 금융권의 특성상 '개인정보 유출' 등 위험성을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달 초 행정안전부로부터 공문을 받고 위원회 내 '딥시크 차단'을 결정했다. 금융위도 다른 공공기관처럼 '망분리' 규제가 적용돼 우려가 크지 않지만 외부망을 이용하는 인터넷PC에서의 접속을 차단한 것이다. 향후 계속 차단할지 여부는 금융위 내부 수요 및 기관 상황을 보고 결정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금융감독원을 포함해 예금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등 산하 정책금융기관에도 딥시크의 보안상 우려 등 내용을 담아 공문을 발송했다.

금융감독원도 이날 오전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한국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도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 중이며, IBK기업은행도 내·외부망에서 딥시크 등 허가되지 않은 사이트에 접속하지 못하도록 했다.

금융권에서도 '딥시크 차단'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대개 금융사들은 내외부망을 분리해 사용한다. 내부망을 이용하면 원래 외부 사이트를 활용할 수 없다. 이에 더해 직원들이 행내에서 외부망을 이용해 접속할 수 있는 경우까지 차단한 것이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은 최근 딥시크의 은행 내 사용을 차단하도록 결정했다.

최근 딥시크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불거지면서 '딥시크' 차단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전날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는 부처 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또 카카오와 네이버 등 정보통신(IT) 업계에서도 딥시크 사용을 지양하거나 접속을 차단하는 조치가 이뤄졌다.

딥시크는 저렴한 개발 비용 대비 뛰어난 성능을 보여 세계적 관심을 받았지만 중국의 검열 정책, 정보 유출 우려가 제기된 상태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