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정부·기업·금융권 ‘딥시크’ 접속 차단 확산… "정보유출 예방"

"개인정보 수집체계 명확하지 않아"
환경·고용부 경찰청 등 추가 차단
한화·신세계 "정보보호 대책 마련"
대기업·은행들도 사용금지 움직임

정부·기업·금융권 ‘딥시크’ 접속 차단 확산… "정보유출 예방"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어온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에 대해 우리나라 정부 부처가 접속 차단 조치에 나선 가운데 6일 정부서울청사 내 한 부처 모니터에 딥시크 차단 화면이 보이고 있다. 뉴스1
중국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이 잇따르고 있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부처는 물론 기업, 금융권도 접속 차단에 동참하고 있다. 이 같은 조치는 행정안전부가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 주의' 공문을 보낸 이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6일 정부 관계부처에 따르면 전날부터 업무망을 통한 딥시크 접속이 차단됐으며, 일부 기관은 추가 차단 여부를 검토 중이다.

환경부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다만 오픈AI의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 서비스는 사용 가능하다.

환경부 관계자는 "딥시크는 개인정보 수집체계가 불명확해 정보당국도 사용에 신중할 것을 권고했다"며 "공개된 자료를 검토한 결과 딥시크의 정보수집 방식이 챗GPT와 달라 정보유출 예방 차원에서 접속을 차단했다"고 설명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보건복지부 역시 이날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 수집·처리 관련 약관이 명확히 확인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접속을 차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4일 고용노동부본부, 지방고용노동관서,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까지 생성형 AI 활용시 보안 유의 사항을 안내한데 이어 이날 오후부터 업무망에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경찰청은 주요 수사정보를 다루는 특성상으로 인해 업무망 접속을 전면 차단했다. 경찰청은 "딥시크 AI 사용 시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우려가 있어 업무용 PC에서 딥시크 도메인 접속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국내 주요 대기업들도 정보 보호를 위해 딥시크 이용금지 조치로 분주하다.

현대차그룹은 딥시크와 관련, 보안 적정성 검토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차단이 전제가 아닌, 새로운 프로그램 사용에 따른 보안 적정성 프로토콜인 것으로 전해졌다. LG CNS와 LG유플러스는 딥시크 이용을 금지하는 사내 공지를 올렸다. 업무용으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개인용으로도 사용을 자제하되 민감한 정보는 입력하지 않도록 권고하는 내용이 담겼다.

한화는 그룹 차원에서 발 빠르게 정보보호 대책을 마련했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방산·금융 분야에서 이미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며 "다른 계열사들도 신속히 차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롯데는 사내 정보보호를 위해 딥시크, 챗GPT, 제미나이 등 AI 사이트의 직접적인 접속은 제한된 상태다.

신세계와 이마트는 이날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의 과다수집 및 정보유출 가능성이 있다"며 딥시크 사용을 차단한다는 공지가 전사에 공유됐다. 이커머스 기업인 쿠팡은 애초 챗GPT 사용 자체가 금지된 상태다.

금융권에서도 딥시크 차단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대개 금융사들은 내·외부망을 분리해 사용한다. 내부망을 이용하면 원래 외부 사이트를 활용할 수 없다. 이에 더해 직원들이 행내에서 외부망을 이용해 접속할 수 있는 경우까지 차단한 것이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은 최근 딥시크의 은행 내 사용을 차단하도록 결정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김동호 서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