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남원에 조성 중인 공공산후조리원 조감도. 남원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전주=강인 기자】 전북특별자치도는 인구감소(관심) 지역에 투자하는 ‘2025년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에 총 1019억원을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전북 내 인구감소 및 관심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도 기금 14개 사업에는 193억원, 시군 기금 50개 사업에는 826억원이 지원된다.
대상 지역은 정읍, 남원, 김제,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고창, 부안 등 10개 인구감소 지역과 관심지역인 익산시이다.
올해 전북도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분야는 3개 전략 14개 사업이다.
3대 전략 분야는 △임신·출산 및 생활 인프라 구축을 통한 함께 살고 싶은 전북 조성 △일자리 창출 및 체류여건 조성으로 함게 일하고 머물고 싶은 전북 조성 △교육·사회서비스 수준 향상 및 지역활력 제고로 함께 행복한 전북 조성이다.
임신과 출산, 생활인프라 구축을 위해 116억원을 투입해 공공산후조리원과 모아복합센터 건립을 추진한다. 지역 내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도민들의 출산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일자리 창출과 체류 여건 조성에는 43억원을 들여 특장 전문인력양성 거점공간 조성, 농촌유학 가족체류형 거주시설 조성, 청년창업 스마트팜 패키지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또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이끌어내고 있다. 2022년부터 도입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은 현재 4098억원 규모로 확대됐으며, 사업이 4년 차에 접어들면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대표적 성과로 ‘유아숲 체험원 사업(2022~2023년)’이 있다. 도내 인구감소지역 7개 시군에 조성된 유아숲 체험원은 어린이들이 자연을 체험하며 정서 발달을 돕고 있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각 시군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통해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제시는‘귀촌청년 로컬재생 복합문화 조성사업(2024~2025년)’을 통해 농촌 유휴 시설을 청년들의 문화 거점으로 탈바꿈시켰다. 익산시는 ‘취업-주거-돌봄’으로 이뤄지는 청년생애주기 맞춤형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층의 정착을 도울 예정이다.
대규모 아파트 공급 시기에 맞춘 청년·신혼부부 익산형 주거사다리 구축 사업(2022~2025년)으로 청년층에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지난해 익산시 출생아 수가 57명 증가했다.
전북도는 워케이션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공공산후조리원 운영비 지원, 농촌유학 활성화 프로그램 확대 등 다양한 후속 사업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어렵지만, 발을 내딛어야 다음 걸음을 걸을 수 있는 만큼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인구 감소의 시간을 되돌리는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하면서 올해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kang1231@fnnews.com 강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