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개발 조감도.
【파이낸셜뉴스 전주=강인 기자】 새만금 관광레저용지가 디즈니월드 같은 글로벌 테마파크로 개발하기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11일 전북특별저치도청에서 열린 전북백년포럼에서 한국종합경제연구원 임영수 전문위원은 새만금 글로벌화를 위해 선도성 프로젝트 투자가 필요하며 저렴한 부지공급이 전제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특강에서 테마파크 특성과 세계 각국 테마파크 사례를 소개하며, 전북 새만금에 개발가능한 글로벌 테마파크 구체적 구상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임 위원은 “향후 테마파크의 주요 키워드는 가족 중심, 다양한 테마, 대형화 및 복합화, 첨단기술 접목, 세계적 테마파크 브랜드, 도심형 복합엔터테인먼트, Multi Contents가 될 것”이라며 “새만금에 이를 반영한 글로벌 테마파크를 개발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외국의 월트디즈니월드나 유니버셜 스튜디오, 유니버셜스튜디오 재팬, 하우스텐보스, 리조트월드 산토사, 키디야 엔터테인먼트시티, MGM 스튜디오, 캐리비안 베이 같은 글로벌 테마파크 입지로 최적화됐다는 것이다.
임 위원은 새만금 글로벌 테마파크 사업화를 위한 7개 세부 전략도 소개하며 새만금 관광레저용지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개발프로세스를 수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7개 전략은 △선도성 프로젝트 선정후 점진적 사업 확대 △가든형 테마파크부터 단계적 투자 △특화연출 및 스토리텔링 △랜드마크 도입 △관광숙박과 온천형 레저풀을 결합한 물놀이 시설 △독특한 숙박시설 도입 △테마파크와 IP 결합 등이다.
이남호 전북연구원장은 “새만금은 풍부한 생태·문화·역사 관광 자원과 넓은 공간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광상품 개발이 가능한 곳”이라며 “전북연구원도 K-컬쳐 복합 엔터테인먼트 파크 조성방향 등 새만금 관광 활성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전북백년포럼은 전북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전북연구원과 전주상공회의소가 공동주관 한다.
kang1231@fnnews.com 강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