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사 전경. 부산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부산시는 시민들의 심야 시간 의약품 이용 편의를 위해 올해 공공 심야약국을 16곳으로 확대 해 운영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약사법 개정으로 올해부터 기존의 부산형·정부형으로 이원화돼 있던 시범사업에서 벗어나 구·군 단위의 통합된 운영 체계가 마련, 지역 특성에 따라 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공 심야약국을 운영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 부산형 2시간, 정부형 3시간이던 운영시간은 매일 밤 10시부터 새벽 1시까지 3시간으로 확대 적용되며, 운영 지원금은 약국별로 시간당 4만원이다.
또, 공공 심야약국 모집이 어려운 기장군은 요일제로 운영하는 등, 지역 여건에 따라 탄력적인 운영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공공 심야약국 지정 공백이 없도록 했다.
이번 운영 확대로 심야 시간에도 시민들이 편리하게 의약품을 구매하고 전문적인 복약지도를 받을 수 있어 시민들의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고 응급실 과밀화를 완화해 지역의료 이용편의를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 공공 심야약국 사업은 2021년 4곳으로 시작해 2022년~2023년 12곳, 지난해 14곳으로 매년 확대되면서 시민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해 기준 연간 2만 5000 건 이상의 의약품 판매와 복약 상담이 이뤄졌으며, 특히 30~50대 연령층의 이용률이 가장 높았다.
내 주변 공공 심야약국과 실시간 운영 정보는 응급의료포털과 119 전화상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소라 시 시민건강국장은 “시민들이 늦은 밤에도 안전하게 의약품을 살 수 있도록 공공 심야약국을 확대하기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paksunbi@fnnews.com 박재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