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질서 수호는 국회의원의 의무 대통령 탄핵은 최소한의 당위"
부당한 명령에 불복종한 군인, 동료의원들 명예로운 불복종 선택
참 민주 보수의 가치 지키기 위해 더욱 굳건하게 행동할 것 다짐
울산지역 당원들에게도 민주주의와 헌정질서 법치주의 수호 당부
울산시의회 의장직 놓고 내분 장기화 지적.. 울산시당 단합 강조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앞장서 온 국민의힘 김상욱 국회의원(울산 남구갑)이 14일 국회에서 울산시당위원장 사퇴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사진DB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국민의힘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앞장선 김상욱 의원(울산 남구갑)이 계속되는 탈당 및 울산시당위원장 사퇴 압박에 밀려 결국 시당위원장직을 내려놓았다.
김 의원은 14일 국회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이번 사퇴를 '명예로운 불복종'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품격 있는 참 민주 보수의 가치를 지켜나가는 데 더욱 굳건하게 행동할 것이라고 다짐과 각오를 밝혔다.
김 의원은 먼저 울산지역 6개 당협의 실질적 추대로 시당위원장이 되었으나 더 이상 추대의 실질을 유지할 수 없기에 사퇴가 민주적이라 판단했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그렇지만 그는 비상계엄 해제와 대통령 탄핵에 앞장선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견고한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국회의원은 헌정질서를 수호할 것을 선서했고, 헌법상 헌정질서 수호의무가 있다"라며 "헌정질서를 무너뜨리는 비상계엄을 해제하고 헌정질서를 무너뜨리려는 대통령을 탄핵하는 것은 국회의원이라면 정당을 떠나 행동해야만하는 최소한의 당위이자 자격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제 인생에서 가장 자랑스러운 결정이며 미래세대에 부끄럽지 않은 결정이었고 옳음을 추구함에 값을 치러야 한다면 달게 받을 것이다"라고 심정을 밝혔다.
김 의원은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로 달려갈 때 바람은 국민들이 다치지 않게 해 달라는 것이었다며 회상했다.
그는 비상계엄이 해제되지 않았더라면 다음날 수백만의 항의 시위를 계엄군이 유혈 진압했을 것이고 대한민국은 독재의 어두운 터널로 들어설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다시 한번 당시의 긴박함을 설명했다.
김 의원은 현재 진행 중인 대통령 탄핵에 대해서도 진영의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국가를 지키며 국민을 지켜내는 것, 비상식과 거짓으로부터 상식과 옳음을 지켜내는 것, 정치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나서야 하는 당위"라며 "대통령 탄핵에 대한 당론을 따르지 않았지만, 국가와 국민과 민주주의와 옳음과 상식에 따라 보수주의자에게 부여된 역사적 소명에 충실하려 했고, 명예로운 불복종의 길을 선택했다"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그는 포고령과 무장 군인의 해산명령에 굴하지 않고 앞을 막아선 시민들, 또 그 시민들이 다치지 않게 배려하고 부당한 명령에 불복종한 계엄군들, 정치금지 포고령에도 불구하고 국회로 달려온 선배 동료의원들이 모두 12.3.사태에 정의롭지 않은 잘못된 명령에 따르지 않고 ‘명예로운 불복종’으로 나라를 구한 많은 분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명예로운 불복종의 용기’가 귀감이 되어야 미래에 다시 있을 수 있는 민주주의 위기를 극복하고 정의로움이 지켜질 수 있다며, 명예로운 불복종이야말로 진정으로 국가와 국민에게 충성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앞장선 국민의 김상욱 국회의원이 14일 국회에서 국민의힘 울산시당위원장 사퇴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상욱 의원실 제공
이날 울산시당 위원장직 사퇴와 관련해서는 지역구 당원들에게 자유의 보수, 민주주의와 헌정질서 법치주의 등 보수의 수호 가치를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아울러 맹목적 진영논리와 사리사욕 당리당략이 아닌 옳고 그름을 기준으로 국가와 국민을 위한 정치를 지켜달라고도 당부했다.
그는 끝으로 울산시당이 시의회 의장 선출 문제로 1년간 극단의 분열에 놓여있다며, 탈당한 시의원을 복당시키고 법원의 판단에 따라 사태를 수습, 울산시당의 단합을 도출해 달라고 부탁했다.
한편 국민의힘 울산시당은 김 의원의 시당위원장직 강제 사퇴를 위해 오는 15일 시당의 최고 결정 권한을 가진 운영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