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김원이 국회 산자위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리고 있다. 2024.12.26. suncho2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사진=뉴시스화상
[파이낸셜뉴스] 더불어민주당 소속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들이 14일 "국가 에너지 안보와 전력 공급 측면에서 해상풍력의 공공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정진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7일 산자위 소위에서 해상풍력 특별법이 심사된다. 지금대로 통과되면 국내 해상풍력 발전은 사실상 외국 자본과 대기업 중심 민간 사업자로 넘어갈 수도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의원은 기자회견 이후 기자들과 만나 "바다는 공유 수면인데 현재는 계측기만 꽂으면 특정 사업자 바다가 되는 게 현실이다. 재생 에너지 생산은 민간 사업자와 외국 다국적 기업이 주도해서 이들에게 지나치게 큰 이익을 준다"며 "발전 공기업이 참여해서 해상 풍력 이익을 공기업과 나아가 국민들에게 돌릴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가한 허성무 민주당 의원도 "공공 부문 발전사들의 역할이 축소되며 이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된다"며 "특히 해상풍력 특별법의 심의 과정에 발전사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발전사 개별의 참여 수준을 넘어서 전체 공공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하려고 한다"고 전했다.
허 의원은 "풍력 에너지의 경우 발전기 등 핵심 부품이 대부분 외국산에 의존한다. 자본 뿐 아니라 관련 산업 부품도 대부분 외국에 의존한다"며 "그 부분에 있어서 공공성이 강화되면 공공 조달 속에 국내 산업이 커질 거라 확신한다. 그걸 통해 국내 일자리도 확대될 거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jiwon.song@fnnews.com 송지원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