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이 18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열린 삼성 준감위 정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이찬희 삼성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위원장이 18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 이사 복귀 불발에 대해 "사법리스크 등 여러 장애물 때문에 (회사가) 신중한 고민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면서도 "(이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를 통한 책임 경영을 조언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취재진들과 만나 "이 회장이 삼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전해 들을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 삼성의 사외이사는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인사들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과 직접 소통하며 조언을 듣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며 "내부에서도 회장께서 전면에 나서 지휘해주기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앞서 오전에 열린 삼성전자 이사회에서는 이 회장의 사내이사 선임이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아 등기 이사 복귀는 불발됐다. 재계에서는 이달 초 이 회장이 '삼성그룹 경영권 불법승계' 항소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만큼 3월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등기이사에 복귀할 것이라고 점쳐왔다. 하지만 검찰의 대법원 상고로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가 올해도 이어지게 되면서 등기이사 복귀 시점은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
이 위원장은 삼성의 컨트롤타워 재건에 대한 필요성도 꾸준히 언급해 왔다. 지난해 '2023년 연간보고서' 발간사를 통해 그는 "경영판단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컨트롤타워 재건, 조직 내 원활한 소통에 방해가 되는 장막의 제거, 최고경영자의 등기임원 복귀 등 책임경영 실천이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컨트롤타워 관련해 이 위원장은 "준감위 내부에서도 통일된 의견 내지 못할 정도로 여러 관점에서 평가되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은 지난 2017년 그룹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미전실)을 해체했고, 전자계열사 중심의 사업지원(삼성전자), 금융경쟁력 제고(삼성생명), 설계·조달·시공(EPC) 경쟁력 강화(삼성물산) 등 사업부문별로 3개의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다. 하지만 '삼성 위기론'이 불거진 만큼 제대로 된 컨트롤타워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됐다.
이어 "개인적으로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것을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고 이끌어나갈지는 회사에서 많은 고려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검찰의 대법원 상고와 관련해 "검찰도 많은 고민이 있겠지만 때로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용기 있는 선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대한변호사협회장을 역임한 법조인으로서 사법부를 전적으로 신뢰한다. 조만간 신속하고 현명한 판결이 나와 경제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근 제기된 삼성전자 위기론에 대해선 "경제 전문가가 아니라 조심스럽다"면서도 "잘 극복할 것이라 생각한다.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이슈들이 있지만 이를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이 위원장은 이 회장의 항소심 선고 이후 직접 만났느냐는 질문에는 "따로 만나지는 못했지만 많은 소통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