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모습.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을 둘러싼 각종 의혹과 여론전에 일일이 반박하고 고발 조치까지 나서는 등 적극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는 범야권의 조기대선 국면을 앞당기려는 시도들을 신속히 차단한다는 구상이 깔려 있다.
의혹들 해명 대응하던 용산..굿판설과 尹 딥페이크는 즉각 고발
1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4일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정치권과 언론에서 제기된 주요 의혹들은 그간 대통령실과 여당인 국민의힘이 상세한 해명을 통해 대응해왔다. 그러다 최근 들어 지나친 공세가 쏟아지자 곧장 법적 조치를 취하는 등 대응 수위를 높였다.
대통령실이 이달 신용한 전 서원대 교수와 유튜버 3명을 고발 조치한 게 대표적이다.
신 전 교수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참여 이력을 내세우며 ‘대통령실이 5대 명산에서 동시에 굿을 했고, 무속 담당 직원을 뒀다’는 주장을 펼쳤다. 대통령실은 지난 5일 즉각 허위사실 명예훼손죄로 고발했다. 그럼에도 한 유튜버는 신 전 교수의 주장을 되풀이하고, 나아가 굿 비용을 특수활동비로 지출했다며 의혹을 부풀리는 영상을 게재했다. 대통령실은 17일 곧장 신 전 교수와 같은 혐의로 고발했다.
지난 15~16일 광주 민주화광장에서 벌어진 탄핵 찬반 집회에선 ‘윤석열 계엄령 트라우마 힐링송’ 제하 윤 대통령 부부를 헐벗은 모습으로 합성한 3분 20초 분량의 딥페이크 영상이 상영돼 논란이 일었다. 이 또한 대통령실은 즉각 영상 제작·유포 관련 유튜버 2명을 성폭력범죄처벌법 위반으로 고발했다.
尹 하야설-당직자 복귀설 등 '대선 앞당기기 시도' 신속 일축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주장들, 특히 야권이 조기 대선 국면을 앞당기려는 의도가 읽히는 의혹들은 대통령실이 나서 신속하게 일축하고 있다.
먼저 보수논객 조갑제 조갑제TV 대표가 쏘아 올린 윤 대통령 하야 가능성이 지금까지도 정치권에서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 판결을 내리기 전에 윤 대통령이 하야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대통령실이나 여권 누구의 입에서도 하야 소리가 나온 적 없고, 밑도 끝도 없는 소리”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또한 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대통령실에 파견된 국민의힘 당직자 10여명이 복귀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실과 여당도 윤 대통령의 복귀를 포기하고 사실상 조기대선 대비에 나섰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대통령실은 파견 당직자 10여명 중 2명만 복귀했고, 지난해 11월 복귀 예정이었다가 계엄 사태로 미뤄졌다는 사실을 공개한 뒤 “명백한 가짜뉴스”라며 “탄핵심판과 무관한 인사조치임에도 사실과 다른 내용을 유포해 대통령실 인사까지 왜곡 선동하는 무책임한 언사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지적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