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개 국내은행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은행권의 당면 현안과 발전방향 등을 논의했다. 앞줄 왼쪽부터 이희수 제주은행장, 방성빈 부산은행장,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 이광희 SC제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복현 원장, 이환주 KB국민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 고병일 광주은행장,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이사. 뒷줄 왼쪽부터 허종구 경남은행 부행장, 안종혁 수출입은행 수석부행장, 황병우 아이엠뱅크 은행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강태영 NH농협은행장, 이호성 하나은행장, 김성태 IBK기업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 김복규 산업은행 수석부행장, 장문호 수협은행 부행장, 박충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금융감독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9일 20개 국내은행 은행장들을 만나 "은행들이 특성에 맞는 건전하고 선진적인 지배구조 정착에 더욱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은행권의 밸류업 정책에 대해서는 "자본 적정성 관리와 주주환원 사이의 '균형추'를 적절히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복현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개 국내은행 은행장과 간담회를 열어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주주가치 제고(밸류업) 및 지배구조 선진화 △자산·상품 쏠림 리스크 관리 △실질적인 내부통제 강화 △취약계층에 대한 자금공급 등에 대한 당부 사항을 전달했다.
그는 "지배구조 선진화와 관련해 지배구조 모범관행 도입, 이사회 소통 정례화 등 제도적인 측면에서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최근의 CEO 선임과정 논란과 이사회 견제기능 미흡사례 등을 볼 때 실제 운영 과정에서의 아쉬움이 남는다"고 전했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와 연이은 대규모 금융사고에 대해서도 경영진의 책임을 지적했다. 이 원장은 "경영진의 단기 실적주의에 따른 밀어내기식 영업관행으로 인해 ELS 등 고위험 상품으로 판매가 쏠리면서 금융소비자에 피해를 입혔다"며 "감독당국과 은행권이 마련 중인 개선방안이 충실히 이행되도록 각별히 신경써달라"고 주문했다.
이 원장은 또 "고위 경영진이 연루된 대형 금융사고가 재발함에 따라 내부통제의 질적 개선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실감한다"며 "조직문화를 과감히 쇄신하고,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를 구현하고, IT리스크 관리에 경영진이 앞장서달라"고 강조했다.
은행권의 밸류업 정책에 관해서는 "자본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며 "손실흡수 능력 확보 등 자본적정서 관리와 자율적인 주주환원 사이의 균형추를 적절하게 맞춰달라"고 당부했다.
가계부채 관리와 취약계층에 적극적인 자금 공급, 은행권에 변화와 혁신도 주문했다. 이 원장은 국민의 자산 형성 지원, 모험자본 공급, 신규 수익원 창출, 디지털금융 확대 등을 언급하며 은행권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행장들은 금융당국 차원의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지방에 자금 공급을 위해 추가 대출 한도를 부여하고, 저신용자 대출을 가계대출 관리 대상에서 제외해달라고 요구했다. 내부통제 우수 사례에 대해서도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내용을 공유해줄 것을 제안했다.
이 원장은 은행장들의 제언을 향후 감독·검사업무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