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관심없어요" 韓고등학생 경제이해력 51.7점…초등생 61.5점

"관심없어요" 韓고등학생 경제이해력 51.7점…초등생 61.5점
자료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경제이해력 평균 점수는 51.7점으로 초등학생보다 약 10점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역시 경제 수업 진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학생들의 경제이해력 제고를 위한 경제교육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획재정부가 19일 발표한 '2024년 초·중·고 경제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경제이해력 평균 점수는 초등학생(6학년) 61.5점, 중학생(3학년) 51.9점, 고등학생(2학년) 51.7점 등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된 첫 조사다. 작년 8~10월 초중고 학생 각 5000여명씩 1만5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특히 물가, 수요·공급, 기회비용 등 경제 기본개념·원리 관련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이해력 점수 상위 5개 지역은 초등학생의 경우 대구(68.6), 세종(66.9), 서울(64.9), 대전(64.6), 부산(64.0) 등이다.

중학생은 세종(60.7), 경북(56.6), 대구(55.4), 서울(55.2), 경남(54.6) 등으로 조사됐다.

고등학생은 부산(57.1), 울산(55.9), 세종(55.7), 대구(54.7), 경기(53.9) 등
대체로 특별시·광역시(서울, 대구, 세종 등)의 평균점수가 광역도보다 높았다.

초·중학생은 주로 학교 수업을 통해 경제지식을 취득했다.

고등학생은 주로 TV·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방식에 있어서는 초·중·고 학생 모두 강의식 교육보다 체험활동, 현장 견학 등 체험형 교육을 선호했다.

교육 주제로는 경제 기본원리와 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경우 경제 수업 진행 시 어려움을 느낀 비율이 60~70%에 달했다.

교사들의 경제 관련 직무연수 경험이 매우 낮게 조사됐다.

기재부는 "학생들의 경제이해력을 증진하고 학교 경제교육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며 "교사 양성, 경제교육 플랫폼 강화 등 경제교육 기반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