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임대주택 사업, 청년 월세 특별 지원, 청년 취업자 주거비 지원 등
전남 여수시가 최근 5년 새 매년 2500명씩 줄어드는 인구 감소 추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올해 생활 체감형 정책을 대폭 강화한다.
【파이낸셜뉴스 여수=황태종 기자】전남 여수시가 최근 5년 새 매년 2500명씩 줄어드는 인구 감소 추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올해 생활 체감형 정책을 대폭 강화한다.
19일 여수시에 따르면 지난 1998년 통합 당시 33만명이던 인구가 지금까지 6만2000여명 줄어 지난해 말 기준 26만7816명에 그쳤다. 특히 지난 2020년부터 최근 5년간 연평균 2500여명씩 감소한 가운데 생산가능 인구(15~64세) 유출 및 고령 인구 증가로 사회적 인구 부양비 문제까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인구 정책의 방향을 인구 유출 방지에 두고, 전입자에 대한 지원보다 실제 거주하고 있는 시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정책을 조정하고 있다.
먼저, 청년 월세 특별 지원 사업의 지급 기간을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연장한다. 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19~34세 이하 무주택 청년이라면 월 20만원씩 2년간 최대 48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단, 단독가구는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재산 1억2200만원 이하여야 하며, 부모와 함께 거주할 경우 원가구 중위소득 100% 이하, 재산 4억7000만원 이하여야 한다.
여수형 청년 임대주택 지원 사업 입주자도 오는 3월 중 모집한다. 여수시 거주 또는 전입 예정인 무주택 청년·신혼부부가 지원 대상이다.
단, 청년(18~45세) 또는 결혼 후 7년 미만의 신혼부부, 중위소득 150% 이하, 신혼부부 소득합산 9000만원 이하여야 한다. 지난해 17호를 공급한 데 이어 올해는 16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25호를 공급한다.
일하는 청년들의 전월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청년 취업자 주거비 지원 사업도 추진한다. 지원 대상은 여수시 거주 무주택 청년 노동자 또는 사업자다. 전세(대출금 5000만원 이상) 또는 월세(60만원 이하) 주택 거주자로, 가구소득 인정액이 중위소득 150% 이하면 신청할 수 있다. 전세 대출금 이자 및 월세 1인당 월 20만원을 최대 12개월간 지원한다. 3월까지 신청자를 모집할 계획이며, 청년이 매월 주거비를 납부하고 증빙서류를 분기 단위로 제출하면 확인을 거쳐 지원금을 지급한다.
여수시는 아울러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출산 정책에도 주력하고 있다.
여수지역 출생아 수는 지난 2020년 이후 계속 감소 추세였으나, 지난해 6.1% 증가했다. 이는 12년 만의 최대 증가 폭으로, 코로나19로 연기된 혼인 건수 증가와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로 풀이된다.
여수시는 우선 영구적 불임 예상 생식세포 동결·보존 지원과 정관·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 사업을 올해부터 시행하며, 산모와 신생아들이 건강하게 지낼 수 있도록 8월 중 웅천동 여수예울병원 내에 전남공공산후조리원도 개원한다.
2024년 이후 출생아를 대상으로는 1세부터 18세까지 매월 최대 20만원의 출생기본수당도 올해부터 지급한다. 단, 출생아와 보호자가 출생신고 시점에 전남에 주민등록을 하고, 수당 신청 시점부터 출생아 및 보호자 모두 관내에 계속해 실제 거주하고 있어야 한다.
생애 주기별 1인 가구 지원도 강화한다.
지난해 말 기준 여수지역 1인 가구는 12만8306세대로, 전체 세대의 41.5%를 차지한다. 특히 최근 3년간 전체 인구 수는 감소한 반면 세대 수 및 1인 가구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이 중 60세 이상 1인 가구는 2만5752명(48.34%)이다.
여수시는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위한 일상 돌봄 지원으로 어르신지킴이단 운영,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 사업, 노노케어(사회활동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1인 중장년을 대상으로는 우리동네복지기동대 운영과 찾아가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여성 1인 가구의 안전 지원을 위해서는 안심택배함, 여성안심콜센터, 여성안심귀갓길 조성 사업 등을 지속 추진한다.
여수시 관계자는 "저출생, 고령화, 사회적 이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애 주기에 따른 체계적인 지원이 중요하다"면서 "실제 거주하는 시민들에 대한 혜택은 늘리고, 청년 인구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