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일부터 IATA 난기류 인식 플랫폼 적용
실시간 대응으로 청천난기류까지 안전 확보
에어프레미아 여객
[파이낸셜뉴스] 에어프레미아는 오는 3월 1일부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난기류 인식 플랫폼(ITA)을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지난해 말 기준 전 세계 25개 항공사에서 약 2600여대의 항공기가 사용 중이다. 각 항공기에서 수집한 난기류 정보를 객관적인 수치로 변환해 회원사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항공사들이 경험한 난기류는 총 1만4802건으로, 5년 전과 비교해 78%나 증가했다. 에어프레미아는 이번 플랫폼 도입으로 기존 예보 중심의 사후 대응에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해져 운항 중에도 안전한 항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난기류 예보가 있었지만 실제로 발생하지 않는 경우나, 예보되지 않은 공역에서 발생하는 청천난기류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어프레미아는 난기류 인식 플랫폼 도입 외에도 비행 전 운항 및 객실 승무원 간 통합 브리핑을 통해 난기류 정보를 사전에 공유하고, 서비스 시점을 조율하는 등 안전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GE) 에어로스페이스의 비행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인 '세이프티 인사이트'를 도입해 운항 중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등 안전성 강화를 위한 전략을 지속하고 있다.
고윤범 에어프레미아 안전보안실장은 "IATA의 표준화된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고객 신뢰도를 높이고 안전 이미지를 강화할 것"이라며 "승객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비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시에 싱콴 IATA 북아시아 및 아태지역본부 부사장은 "에어프레미아의 플랫폼 참여를 환영한다"며 "에어프레미아의 항공기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글로벌 회원사들의 안전성을 높이고 승객의 편안함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에어프레미아는 '꼭 필요한 것만 담은 프리미엄 서비스'를 표방하며 고품질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하이브리드 국적 항공사다.
moving@fnnews.com 이동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