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기민·기사 연합 정권교체
차기 총리 예약한 메르츠
이민자 송환 등 초강경 태세
"연정 협상, 4월20일까지 매듭"
'극우' 독일대안당 2위 약진
극우정당인 독일대안당(AfD) 알리스 바이델 공동대표(왼쪽 세번째)가 23일(현지시간) 베를린의 선거 사무실에서 선거 결과에 기쁨을 감추지 못한 채 독일 국기를 흔들면서 지지자들의 환호에 화답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경제 침체와 외국인 이주자에 대한 혐오 정서 급등 등 반이민 정서 속에서 독일 정국에 보수·우경화 정당들의 바람이 거세다. 이들은 초강경 난민 정책을 내세우며 이민자 송환까지 공언하고 있다.
독일 공영방송 ARD 등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치러진 독일 연방의회 총선거에서 중도보수 기독민주당(CDU)·기독사회당(CSU) 연합은 28.6%를 득표, 올라프 숄츠 총리의 사회민주당(SPD)을 큰 폭으로 따돌리고 제1당으로서 정권 주도권을 쥐게 됐다.
■극우정당 AfD, 20.8% 득표
극우정당인 독일대안당(AfD)도 득표율 20.8%로 창당 12년 만에 2위를 차지하는 등 극우 돌풍을 일으켰다. 난민 '재이주'(송환)를 구호로까지 내세운 AfD는 경제 침체와 반이민 정서 속에서 극우 약진을 과시했다.
반이민과 경제 침체 속에서 지지층을 불만 가득찬 중산층과 젊은이들에까지 지지층을 넓힌 보수 정당들의 선전은 폴란드, 루마니아 대선 등 올해 예정된 유럽의 다른 선거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보수 정당들은 최근 잇따른 이민자들의 강력 범죄 속에서 반이민 정서에 편승하면서 세를 불렸다.
반면 집권 SPD는 16.4%라는 1949년 이후 사상 최저 득표율로 3위로 주저앉았다. 현 연립정부 파트너 녹색당은 득표율이 전보다 3%p 감소한 11.6%로 나타나는 등 진보진영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사회주의 좌파당은 8.8%의 득표율을, 지난해 11월 숄츠 총리의 연정을 떠난 자민당은 득표율 4.3%에 그쳤다.
ZDF방송은 전체 630석 가운데 CDU·CSU 연합이 208석, AfD 152석, SPD 120석, 녹색당 85석, 좌파당 64석을 확보할 것으로 집계했다. CDU·CSU 연합과 SPD의 합계 의석수가 재적 절반(315석)을 넘기면서 일단 두 정당의 좌우 합작 대연정이 가능해졌다. 연정 구성에 성공할 경우 프리드리히 메르츠 CDU 대표가 총리를 맡을 전망이다.
■AfD "연정 협상 열려 있어"
이와 관련 알리스 바이델 AfD 공동대표는 "CDU와 연정 협상에 열려 있다. 그렇지 않으면 어떤 정치적 변화도 불가능하다"며 연정 참여를 요구했다. 독일 정당들은 AfD가 민주주의를 해친다며 연정 구성을 비롯한 모든 협력을 거부하고 있지만 1당이 된 CDU·CSU 연합의 메르츠 CDU 대표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중도보수 CDU·CSU 연합은 이례적으로 극우정당인 AfD와 큰 차이 없는 난민 정책을 내세우며 시류에 편승했다. 국경을 폐쇄하고 이민자를 국경에서 바로 돌려보내겠다고 공약했다. 메르츠 대표는 극우 정당과 협력하지 않는다는 금기를 깨고 지난달 AfD의 찬성표를 합쳐 난민정책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강경책을 밀어붙였다.
■독일, 초강경 난민정책 예고
총리 자리를 예약해 놓은 메르츠 대표는 22일 "이민정책을 바꿀 준비가 안 된 정당과는 연정을 꾸리지 않겠다"고 말해 우려를 불러 일으켰다. 그의 초강경 난민정책에 동의하는 정당은 AfD가 유일하고 상위법인 유럽법과 충돌한다는 지적이 많다.
메르츠 대표는 승리를 선언한 뒤 부활절인 4월20일까지 연정 협상을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독일에서는 지난해부터 난민 강력범죄가 잇따라 반이민 정서가 최고조에 달했다. 지난달 22일 아샤펜부르크의 공원에서 아프가니스탄 난민이 흉기를 휘둘러 2세 남아가 숨졌고 이달 13일 또 다른 아프가니스탄 난민이 집회 행렬에 차량을 몰고 돌진해 또 두살배기가 사망했다.
투표를 이틀 앞둔 21일에는 시리아 난민이 베를린의 홀로코스트 추모공원에서 흉기를 휘둘러 스페인 관광객이 크게 다쳤다.
앞서 CDU는 앙겔라 메르켈 전 대표 겸 총리의 지휘 아래 2005~2021년 사이 16년 동안 집권했었다. 그러다 CDU·CSU 연합은 2021년 총선에서 패하고 SPD에게 정권을 넘겼었다.
june@fnnews.com 이석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