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조 바이든 행정부를 이어받아 중국에 대한 반도체 통제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25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통제 강화와 함께 우방국의 관련 업체에도 요청을 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 관리들은 반도체 장비업체인 일본의 도쿄일렉트론(TEL)과 네덜란드 ASML 관계자들을 만나 중국에서 사용 중인 장비의 점검을 제한하는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정부는 미 반도체 제조 장비업체인 램리서치와 KLA, 어플라이드머티리얼스에도 대중국 장비 수출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유사한 요구를 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면허 없이도 중국에 수출이 가능했던 일부 반도체도 억제하는 것을 논의했으며 기존의 AI용 반도체 수출 제한을 더 강화시키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미국 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통제 의도는 인공지능(AI)과 군사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바이든 행정부가 우방국과 이루지 못한 합의를 트럼프 행정부는 마무리 짓겠다는 의도다.
백악관과 네덜란드 무역부, 일본 경제산업성 모두 이번 보도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 관계자는 트럼프 국가안보위원회에 중국 반도체 기업 창신메모리가 미국 기술을 구매하지 못하도록 할 것을 정권 인계 과정에서 우선 과제로 요청했다.
당시 바이든 행정부는 일본의 반대로 구매 금지를 내리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화웨이와 제휴하고 있는 중국 파운드리 업체 SMIC에 대한 통제를 개별 허가가 아닌 전면 금지를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을 위해 설계된 엔비디아의 반도체 판매 금지까지 하는 등 바이든 행정부에 비해 한층 통제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통보만으로 수출할 수 있는 그래픽처리장치(GPU) 규모를 현재의 최대 1700개에서 낮추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