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스마트싱스∙녹스∙빅스비 기반, AI 가전이 제공하는 연결 경험 강조
LG전자, KBIS서 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 신규 라인업 최초 공개
첫 참가하는 ‘IBS’에서 美 B2B 생활가전 시장 고객들과 접점 확대
삼성전자 직원이 KBIS 2025에서 차별화된 AI 연결경험을 제공하는 비스포크 가전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미국 주방·욕실 전시회 'KBIS 2025'에 동시 출격한다. 이를 통해 프리미엄 가전을 필두로 북미 시장을 공략에 속도를 내고, 기업간거래(B2B) 사업 기회도 넓힐 계획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27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되는 KBIS 2025는 전 세계 600개 이상의 업체가 참가하는 북미 최대 규모의 주방·욕실 전시회다.
삼성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 비전 아래 차별화된 AI 연결 경험을 제공하는 다양한 비스포크 가전을 선보인다. 실제 전시장에는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슬라이드인 레인지' 전기레인지 등 다양한 비스포크 가전이 마련됐다.
다양한 스크린 가전도 소개한다. 32형 스크린을 탑재한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와 9형 스크린을 탑재한 '비스포크 AI 냉장고', 7형 스크린을 탑재한 30형 '월 오븐' 모델을 전시한다.
삼성전자는 전시를 통해 럭셔리 빌트인 주방 가전 브랜드 '데이코'의 인덕션레인지 신제품과 냉장고·냉동고·콤비오븐·와인냉장고 등 빌트인 라인업도 선보인다.
LG전자 모델들이 초(超)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SKS’를 체험하고 있는 모습. LG전자 제공
LG전자는 ‘KBIS 2025’에서 1022㎡ 규모의 전시 부스에 초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와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을 선보인다. 특히 다양한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꾸민 공간에서 'SKS'의 신규 라인업을 최초 공개한다. 회사는 최근 초프리미엄 빌트인 주방가전 브랜드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SKS'로 리브랜딩 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조리대 안에 넣을 수 있는 '일체형 후드'와 '히든 인덕션'을 적용한 아일랜드 시스템 콘셉트의 제품이 전시된다. 제품의 모습마저 숨겨, 주방이라는 공간의 고객경험을 최우선으로 한 제품이다.
핵심 부품 기술력 '코어테크'로 본원 성능을 강화한 고효율 프리미엄 가전 라인업도 선보인다. 히트펌프 건조기 라인업은 듀얼 인버터 히트펌프를 적용해 건조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날 뿐 아니라, AI 다이렉트 드라이브(DD)모터를 탑재해 AI가 옷감의 종류와 무게를 분석해 더욱 섬세한 움직임을 구현하도록 해 옷감 수축도 줄여준다.
아울러 LG전자는 올해 처음으로 KBIS 2025와 함께 미국 최대 디자인·건축 박람회 DCW 2025 기간 동안 진행되는 국제 건축 전시회 'IBS 2025'에도 참가한다.
해당 전시에서 LG전자는 260㎡ 규모의 부스를 설치해 단독주택, 아파트, 원룸 등 다양한 주거 형태에 꼭 맞는 생활가전들을 보여주고, 히트펌프 등 핵심 부품 기술력을 알릴 계획이다.
LG 씽큐 애플리케이션(앱)과 연동해 실시간으로 전기 사용량을 확인하고 외부에서도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플러그', 집 안 조명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스마트 스위치' 등 AI 홈 구현을 위한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제품들도 선보인다. B2B 생활가전 시장에서도 AI 홈 솔루션을 활용한 사업 기회를 보여줄 계획이다.
soup@fnnews.com 임수빈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